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벼랑 끝에 선 노숙인들이 최소한의 생존권 보장을 요구하고 나섰다. 1년 가까이 장기화된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상황에 무료급식소가 폐쇄되고, 일자리 예산이 주는 등 정부 지원이 급격하게 줄고 있다는 것이다.
참여연대와 빈곤사회연대 등 14개 시민사회단체는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시의회 의원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내년 예산안과 사업계획 심의를 앞두고 노숙인의 생존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예산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서울시의 노숙인 등을 위한 주거 및 의료 지원을 보면 코로나19 이전에 수립된 계획 그대로 집행되는 등 현 상황을 타개할 어떤 해법도 담겨 있지 않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거리로 나온 활동가들은 '밥다운 밥, 일다운 일, 집다운 집' '정부는 홈리스 일자리 늘려라' 등의 구호가 적힌 종이박스를 들고 노숙인들의 생존권 보장을 촉구했다.
시민단체 등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노숙인들의 삶의 질은 의식주 전반에 걸쳐 위협 받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서울시의 복지 사업은 나아지지 않거나 오히려 후퇴했다. 서울시 노숙인 일자리 지원사업 연도별 추진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704명이던 노숙인 반일제 일자리 개수는 올해 650명으로, 154명이었던 전일제 일자리는 140명으로 오히려 감소했다. 안형진 홈리스행동 상임활동가는 "내년 예산안을 봐도 노숙인 일자리 개수는 지난해 수준으로 회귀한 것밖에 되지 않는다"면서 "월 70만원 안팎의 낮은 임금, 실업급여 미보장 등 질적인 부분에서도 처참한 수준"이라고 꼬집었다.
신종 코로나 확산을 막겠다는 명목으로 민간 무료급식소가 줄줄이 문을 닫았지만, 이들을 위한 공공급식소는 턱없이 부족하다. 현재 서울시는 노숙인종합지원센터 등 공공급식소 7개소에서 급식서비스를 제한적으로 시행하고 있지만 모두 1일 1식만 제공하고, 그 위치 또한 3개 자치구(용산구, 서대문구, 영등포구)에 몰려 있어 서울시내 노숙인들을 포괄하기엔 역부족이다.
주요 병원들이 코로나19 확진자로 포화 상태에 이르면서 노숙인들이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기도 쉽지 않다. 현재 서울시 내 노숙인 진료시설로 지정된 2차 이상 병원은 국립중앙병원, 서울시의료원 등 9개소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상당수 병원이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전환돼 이용 자체가 불가능하다. 노숙인 김영민씨는 "최근 척추측만과 경추골절 치료 받기 위해 지정 병원을 방문했지만 저에게 돌아온 건 '코로나 이후 신규 환자를 받지 않으니 대학병원에 가라'는 답변 뿐이었다"면서 "전담병원을 추가 지정해 노숙인의 건강권도 지켜주길 바란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