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모주 청약’ 제도를 손봤습니다. 소액으로는 사실상 공모주 시장에 접근조차 불가능하다는 개인 투자자들의 원성에, 정부가 직접 나선 것입니다. 그래서 새로운 공모주 청약 제도의 핵심은 ‘문호 개방’ 입니다. 더 많은 투자자들이 공모주 시장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겠다는 것이지요. 이게 정말 효과를 발휘할 지, 투자자들은 앞으로 어떤 점을 주목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정부는 일단 공모주 물량 중 개인 투자자들 몫을 늘렸습니다. 통상 기업공개(IPO)를 통해 발행하는 새로운 주식인, 공모주는 20%(코스피 기준)가 개인 투자자들에게 배정됐습니다. 정부는 여기에 △우리사주조합 미달 물량 중 최대 5% △하이일드펀드 배정 물량 5%를 개인 투자자에게 주기로 했습니다. 개인 투자자들의 공모주 몫이 최대 30%까지 늘어나게 되는 것이죠.
투자 접근성도 높이는 카드도 꺼냈습니다. 지금까진 공모주 청약을 위해 냈던 ‘증거금’이 많으면 많을수록 더 많은 공모주를 가져가는 구조였죠. 이러다 보니 자본금이 부족한 투자자들은 애초에 공모주에 투자하고 싶어도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앞으로는 개인 투자자 몫(공모주 전체 물량의 최대 30%) 중 최소 절반은 ‘균등 방식’으로 배정해야 합니다.
균등 방식은 ‘최소 청약 증거금’을 낸 사람들에게 동등한 배정 기회를 주는 건데요. 크게 2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하나는 ‘최소 배정 수량’을 정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최소 증거금 100만원을 내면 무조건 공모주 10주를 주는 것이죠. 또 다른 방식은 최소 증거금을 낸 투자자들에게 개인에게 배정된 물량을 ‘N분의 1’로 나눠 주는 겁니다.
다만, 정부의 개선안이 개인 투자자들의 접근성을 무조건 올려주는 방향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입니다. 개인 투자자들이 진입하고 싶은 공모주는 소위 ‘대박 날 거 같은’ 기업 것입니다. 최근 IPO를 보면, 국내 IT 기업 양대 산맥 중 하나인 카카오의 게임회사 ‘카카오게임즈’, 빌보드 차트 1위에 빛나는 BTS 소속사 ‘빅히트엔터테인먼트’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들 기업은 우리사주에게 배정한 물량에서 미달이 발생하지 않거나, 애초에 우리사주 배정 물량이 10%도 채 안됐습니다. 정부가 개인 투자자에 배정 물량을 늘리는 안 중 하나인 ‘우리사주 미달 물량의 최대 5%’는 실상 ‘인기 있는’ 공모주에선 실현이 안될 가능성도 있는 겁니다.
배정 방식도 무조건 개인 투자자들이 물량을 가져갈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인기 있는 공모주일수록 당연히 청약 수요가 배정 물량보다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럴 경우 최소 증거금을 내고도, 최소 배정 수량 방식이든 N분의 1 방식이든, 다시 ‘추첨’을 거쳐 공모주를 나눠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앞으로 개인 투자자들은 IPO를 하는 기업들이 공시하는 ‘증권신고서’를 면밀히 봐야 합니다. 정부는 올해 12월부터 IPO를 하는 기업들에게 △투자자별 배정 물량(기관/우리사주/개인별) △투자자별 청약 방식 △미달물량 배정 비율(최대 5% 내에서 몇% 배정할지) 등을 증권신고서에 기재해야 합니다.
이 세 가지 정보를 바탕으로 개인 투자자들이 가져갈 수 있는 물량은 최대 몇 주인지, 최소 증거금은 얼마이고 배정받을 수 있는 확률은 얼마나 될 지를 따져볼 수 있습니다. 앞서 지적했듯이 인기 많은 공모주의 경우 우리사주 미달물량이 없거나, 균등 방식 배정에서도 추첨이라는 경우의 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점을 고려해 어떤 공모주에 투자를 할 지 꼼꼼히 따져보고 결정해보는 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