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이 개방을 통해 금강 보의 수 생태 복원 효과를 이미 확인한 만큼 서둘러 해체해야 한다고 한 목소리로 강조했다. 보 해체의 발목을 잡는 가장 큰 요인은 농업용수 부족으로,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고도 했다.
금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지난 9월 세종보는 해체, 공주보는 부분 해체, 백제보는 상시개방을 권하는 최종 의견을 국가물관리위원회에 제출했다. 금강유역물관리위는 다만 보 해체 시기는 지역 여건 등을 고려해 결정하라는 단서 조항을 달았다. 국가물관리위원회는 제출된 의견을 토대로 연내 최종 보 처리 방안을 결정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박창근 가톨릭관동대 교수는 세종환경운동연합이 16일 주최한 ‘2020 금강 복원 시민 토론회’에서 “보 개방 결과 조류 농도가 감소하고 사라진 모래톱이 생겨났다”며 “보 철거로 인한 환경적인 이점은 이처럼 명확하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업용수(지하수) 이용 문제가 해체를 가로막는 요인이 되고 있는데, 4대강 사업 준설 전에는 금강 주변에서 농업용수가 부족한 사례가 없었다”며 “우리 사회에서 농민이라는 단어를 ‘불가침’ 영역으로 여겨 단 한 명의 (수혜)농민을 위한 보조차도 철거하지 못 한다”고 지적했다.
김영일 충남연구원 연구위원도 보 처리를 가로막는 가장 큰 문제가 농업용수라는데 동의했다. 김 연구위원은 “지류 하천에 설치된 대부분의 보가 농업용수를 위한 것인데, 대안이 마련되지 않으면 환경적 문제가 아무리 많아도 처리할 방안이 없다”고 보 해체의 현실적 어려움을 토로했다.
김 연구위원은 그러면서 “하천 횡단구조물에 대해선 환경적 영향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분을 고려해 통합 관리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생태적으로 문제가 되는 지역을 우선 선별해 모니터링하고, 농민이나 지역 주민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이해시키는 작업이 우선돼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보 해체와 함께 지류 지천의 농업용 보 관리가 중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백경오 한경대 교수는 “과거 보의 생태 통로 단절과 노후화 등 문제로 곡릉천 공릉보나 한탄강 고탄보 등이 철거되기도 했고, 해체 결과 참게가 발견되고 하상이 안정되는 등 수생태계 복원 효과가 입증됐다”고 보 해체에 따른 긍정적 변화 사례를 소개했다. 백 교수는 하지만 “4대강 사업 이후 보 철거 문제가 정치적으로 비화하면서 노후화한 농업용 보조차도 철거하지 못했다”며 “기능을 상실한 지류 지천의 농업용 보 관리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보 개방을 통해 수 생태계 복원 효과가 나타나고 있지만,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박창재 세종환경연합 사무처장은 지난달 촬영한 세종보 인근 현장을 소개하며 “보를 상시 개방하고 있는데도 여전히 오염물이 쌓이고 있다”며 “가동보를 눕혀 개방했다지만 여전히 구조물 주위에는 모래 등 퇴적물이 쌓여 육지화하고 있고, 물이 한쪽으로만 흐르는 상태로, 하루 빨리 보를 해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치환 세종환경운동연합 대표도 “세종시 출범 8년 차를 맞았지만 금강 수생태계가 심각하게 죽어가고 있다”며 “보 해체를 통해 대한민국의 젖줄인 금강을 살려 나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