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야의 빛 뒤엔 극야의 어둠이 있다

입력
2020.11.18 04:30
26면
11.18 극야



고위도 지역의 해지지 않는 여름 밤을 백야(白夜)라고 한다. 유럽 최북단 스발바르처럼 자정까지 태양이 떠 대낮 같은 밤이 지속되는 곳도 있지만, 위도가 덜 높아 태양이 지평선에 걸터앉는 백야도 있다. 여름이라 덜 춥고 밤이라 덜 더운 극지의 백야는 기상학적 체험관광의 자원이 된다.

태양이 져도 지평선 아래로 18도 이상 내려가지 않으면, 태양이 떠도 지평선 아래 6도 이하에 머물면 빛이 범람해 대지에 미친다. 그 덜 어두운 밤, 덜 밝은 낮의 빛을 우리는 '박명(薄明)'이라고 한다.

밤이 있으면 낮이 있지만, 백야의 반대말은 '흑주(黑晝. 검은 낮)'도 '흑야(黑夜)'도 아닌 '극야(極夜)'다. 극단적으로 긴 밤이란 의미다. 여름 백야의 위도 공간은 겨울 극야의 시간을 견딘다. 해 없이 이어지는 밤은 위도에 따라 극지의 경우 추분에서 춘분까지 약 6개월씩도 간다. 극야가 백야만큼 덜 알려진 까닭은, 어둠을 달가워하는 이들이 적기 때문이고 극지의 겨울 밤 추위 때문이다.

백야처럼 극야의 박명도 있다. 한껏 돋은 태양이 지평선 아래에서 빛나는 간접 일출의 곁불같은 기운. 태양 최고 고도가 -6도~0도까지 솟아 조명 없이도 웬만한 거동이 가능한 극야의 박명은 시민박명(civil twilight, 혹은 상용박명)이라 불리고, -12~-6도는 항해박명, -18~-12도는 천문박명이다. 우리가 여명이나 서광, 황혼이라 부르는 때의 빛도 그중 하나에 든다.

2018년 11월 18일 오후 12시 39분, 미국 최북단 알래스카 배로(Barrow)의 지평선 위로 태양이 떴고, 65분 뒤인 오후 1시43분 태양이 졌다. 이후 배로 시민들은, 새해를 맞고도 만 22일이 지난 1월 23일에야 새 해(태양)를 맞이했다. 65일 만이었다.

마거릿 미첼의 소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와 영화 속 비비언 리의 유명한 대사 '내일은 내일의 태양이 뜬다'의 원문은 '내일은 또 다른 하루(Tomorrow is another day)'다.

최윤필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