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3055명 검사하니 코로나 감염자 1명… “집단면역 기대 불능, 백신 기다려야”

입력
2020.07.09 17:20
1면

방역당국이 국민 3,055명을 대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항체 형성 여부를 조사한 결과 단 1명에게서만 항체가 확인됐다. 자신도 모르게 감염됐다가 회복한 사람이 전체 국민의 0.03% 수준이라는 얘기다. 국민의 60% 이상에서 항체가 나올 경우  예방접종(백신)과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는 ‘집단면역’을 기대할 수 없는 셈이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중대본)가 9일 발표한 국내 신종 코로나 '항체가' 조사 중간 결과에 따르면 대상자 3,055명 가운데 항체가 형성된 사람은 단 1명이었다. 이번 조사에서는 올해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위해 수집된 혈청 가운데 수집된 1,555건(명)과 서울 서남권 5개 의료기관을 찾은 환자의 혈청1,500건(명)을 검사했다. 혈청이 수집된 기간은 4월 말부터 6월 초까지다. 

보통 바이러스가 체내에 침입하면 평균적으로 10~15일 이후부터 바이러스와 싸우기 위한 중화항체가 형성되는데,  중화항체 조사를 통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실을 모른 채 회복된 환자를 포함해 전체 확진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 

이번에 드러난 중화항체 보유율은 0.033%. 산술적으로는 올해 한국 인구 5,178만명 가운데 1만7,087명이 감염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이야기다. 현재까지 확진판정을 받은 누적 환자가 1만3,293명인 점을 고려하면 방역당국이 파악하지 못한 환자는 4,000명 정도로 계산된다. 항체 형성률은 스페인 전역(5%) 영국 런던(17%) 스웨덴 스톡홀름(7.3%) 일본 도코(0.1%) 등에서 보고된 수치보다 훨씬 낮다. 해외에서는 검사능력이 부족해 대개 증상이 나타난 사람만 검사하지만 한국에서는 확진자의 접촉자까지  광범위하게 설정해 검사하는 공격적 방역전략을 채택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방역당국이 파악하지 못한 환자가 다른 나라에 비해 많지 않다는 얘기다. 

다만 이번 항체 보유율은 확정치가 아니다. 신종 코로나가 대규모로 유행했던 대구ㆍ경북 지역에서는 시행되지 않아 대표성이 부족하다는 게 방역당국의 설명이다. 아직은 ‘참고자료’라는 것이다. 국립건강영양조사를 통한 검체 수집은 올해 12월까지인데, 정확한 규모는 이 때에야 가늠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해외에서는 지역에 따라서 항체가 형성된 사람이 확진자의 10배, 50배가 나온 경우도 있다”면서 “한국에서도 대구ㆍ경북이나 전국으로 항체 검사를 확대하면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결국 이번 항체가 조사 중간 결과가 보여주는 메시지에 대해 방역당국 관계자는 "현재 방역당국이 찾아내지 못한 감염자는 거의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라며 "집단면역을 기대할 수는 없고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될 때까지 견디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호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