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억 인도의 중국 보이콧, 우리 기업에 기회 열린다

입력
2020.07.03 14:57
스마트폰·통신장비 등 ICT 분야에 청신호


인도가 지난달 중국과의 유혈 충돌 이후 중국산 제품을 겨냥한 보복 조치를 취하면서 정보통신기술(ICT) 부문을 위시한 우리나라 기업들이 13억 인구의 거대 시장인 인도에서 반사이익을 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인도의 전방위 대중 경제보복

3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중국과의 유혈 충돌로 자국군 20명이 사망한 지난달 15일 라다크 지역 국경 분쟁 이후 다각적인 경제 보복을 진행하고 있다. 

ICT 부문에선 통신망 구축 사업에 화웨이, ZTE 등 중국업체 제품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추진하면서 국영통신사엔 중국 장비를 구매하지 말라는 지침을 내렸다. 이 법안엔 중국산 전자제품, 의료장비 등 100여 개 품목의 수입관세를 올리는 내용도 포함됐다. 현지 공항·항만에선 세관 당국이 휴대폰 부품 등 중국산 수입품의 통관을 조직적으로 지연하고 있다. 

지난달 28일(현지시간)엔 틱톡·위챗 등 중국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59개의 인도 내 사용이 금지됐다. 동영상 플랫폼인 틱톡의 경우 인도 내 가입자 수가 1억2,000명에 달해 중국 모회사(바이트댄스)의 손실이 60억달러에 이를 거란 관측이 나온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 계정을 폐쇄하기도 했다. 

인도 국토부가 지난 1일 자국 고속도로 건설에 중국 회사 참여를 막겠다고 발표하면서 경제 보복은 전방위로 뻗는 양상이다. 같은 날 중소기업부는 중국의 인도 기업 투자도 제한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중국은 지난해 인도 스타트업에 33억달러를 투자한 큰손으로, 인도 유니콘(기업 가치 10억달러 이상 스타트업) 26곳 중 절반인 13곳에 중국 자본이 투자됐다. 


스마트폰·통신장비 점유 기회

인도의 중국산 배제가 장기화한다면 중국과 경합 중인 부문을 중심으로 우리 기업의 시장 확대 여지가 커질 거란 기대가 나온다. 특히 삼성전자를 비롯한 ICT 기업이 잠재적 수혜자로 꼽힌다. 

단기적으론 현지 스마트폰 시장에서 3위로 밀렸던 삼성전자가 2위로 도약할 수 있을 거란 관측이 나온다. 인도는 중국에 이은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 2위 국가로, 지난해 3분기 기준 모바일 가입자가 11억7,000만명에 이른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의 닐 샤 이사는 "모디 정부의 최근 조치는 중국발 공급망을 교란하려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어 (현지 스마트폰 1,2위 기업인)샤오미와 오포 같은 중국 기업의 인도 영업에 타격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들 중국 기업은 인도 내 반중 정서가 거세지면서 판매점 간판을 가리는 등 영업상 어려움도 겪고 있다. 

5세대(5G) 통신장비도 주목할 만한 분야다. 세계 통신장비 1위 기업 화웨이에 대한 미국의 견제가 심화하는 가운데, 인도 역시 이번 국경 분쟁을 계기로 5G망 구축 사업에서 중국업체를 배제할 태세다. 인도 정부는 2022년 5G 본격 상용화를 목표로 올해 말부터 관련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시행할 방침이다. 삼성전자는 내년으로 예정된 인도 정부의 5G 주파수 배분을 겨냥해 현지 유력 통신사의 공급망을 뚫는다는 계획이다. 

이훈성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