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성과 보고 안 하면 해고" 머스크에 국방부·FBI '반기'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정부효율부(DOGE) 수장을 맡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연방정부 구조조정 과정에서 연방 공무원들에게 개별적으로 업무 성과를 보고하라고 통보하자,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발탁한 일부 부처 수장들이 공개적으로 반발하고 나섰다. 뉴욕타임스(NYT)는 23일(현지시간) 연방수사국(FBI)과 국가정보국(DNI), 국방부, 국무부, 보건복지부, 국토안보부 등 일부 연방 기관들이 소속 직원들에게 인사관리처(OPM) 지시에 따르지 말 것을 명령했다고 보도했다. 전날 머스크는 OPM을 통해 "연방정부 직원들은 24일 자정까지 '지난주에 한 일'을 5개로 요약해 보내라. 응하지 않으면 사임하는 것으로 간주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이메일을 연방 공무원 230만 명에게 보냈다. 머스크에 반기를 든 곳은 대부분 정보와 안보, 법을 다루는 부처들이다. 국방부는 성명을 통해 "국방부는 자체 절차에 따라 직원 실적을 검토할 것"이라며 "당분간 OPM에 대한 모든 답변을 일시 중단하라"고 직원들에게 지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임명한 털시 개버드 DNI 국장과 캐시 파텔 FBI 국장도 지시에 불응했다. 개버드 국장은 직원들에게 "본질적으로 민감하고 비밀스러운 우리 업무의 특성을 감안할 때 직원들은 OPM 이메일에 답해선 안 된다"는 메시지를 보냈다. NYT는 "특히 법무부와 FBI는 머스크의 위협적인 신호에 분노와 놀라움이 섞인 반응을 보였다"며 "형사 수사와 법률적 기밀, 대배심 자료와 같은 민감한 분야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일괄적인 정보 요구를 했다는 점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일부 부처는 내부 지침이 통일되지 않아 혼선을 빚기도 했다. 보건복지부는 23일 오전 직원들에게 OPM 통보에 따르라고 안내했으나,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보건원은 "답변을 보류하라"고 상반된 지시를 내렸다. 몇 시간 뒤 보건복지부도 입장을 바꿔 "답변을 일시 중지하라"고 다시 알렸다. 미항공우주국(NASA)은 부서별로 "성과 보고에 따르라"는 곳과 "보안 우려가 있으니 구체적 지침을 기다리라"는 곳으로 갈렸다. NYT는 "머스크가 이메일에 대한 답변을 토대로 대량 해고를 정당화할 법적 근거가 무엇인지는 불분명하다"며 "연방 기관들의 반발은 행정부 전반에 머스크의 통제되지 않은 권력에 대해 불안감과 경각심이 커지고 있음을 반영한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