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퍼드·옥스퍼드처럼...대학·지역 '성장 시너지' 노리는 서울시, RISE 사업 본격화

입력
2025.01.14 04:30
13면
'서울시 대학지원체계(RISE) 기본계획' 보니
R&D 지원 강화·산학협력 고도화·인재 육성 중심
글로벌 산학협력 대학별 매년 최대 12억 지원

스웨덴 말뫼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핀란드 에스포에는 공통점이 있다. 모두 대학 교육을 통해 경쟁력을 끌어올린 지역들이다. 폐쇄된 조선소 부지에 창업 중심 대학을 유치해 스타트업 도시로 재탄생(말뫼)하거나, 대학 연구단지 활성화로 가구소득을 높이는(노스캐롤라이나주) 등 지역과 대학의 협력으로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

'서울형 라이즈' 시행...대학을 '글로벌 혁신 기지'로 육성

우리나라도 올해부터 이와 유사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라이즈)'를 시행한다. 정부 주도의 대학 지원체계를 지방자치단체 중심으로 전환해 '지역인재 양성→취·창업 유도→지역 정주'의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하는 게 목표다. 전국 대학(402개) 중 21.6%(87개)가 몰려 있는 서울시도 풍부한 인적자원을 노동시장으로 연계하고, 대학과 함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라이즈 사업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건다.

13일 한국일보가 확보한 '서울시 지역혁신중심 RISE 기본계획'에 따르면 시는 대학에 대한 연구개발(R&D) 지원을 강화하고 산학협력을 고도화해 금융·정보통신기술(ICT)·콘텐츠·의료서비스 산업 등을 집중적으로 육성한다. 금융·ICT 연계 스타트업을 양성한 미국 스탠퍼드대, 아스트라제네카와 코로나19 백신을 공동 개발한 영국 옥스퍼드대 등이 '롤 모델'이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매년 4개의 '글로벌 산학협력 선도' 대학을 선정, 대학별로 연간 최대 12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2029년까지 해당 대학들에서 창업된 기업 총 40개(본 글로벌 창업 기업)의 해외 진출도 돕는다.

앞으로 5년간 해외 첨단·미래산업 분야 우수 인재(석사급) 500명 유치를 목표로 매년 4개 대학(또는 컨소시엄)에도 연간 최대 10억 원을 투입한다. 인재들이 인력난을 겪는 미래산업 분야 중소·중견기업 등에서 일할 수 있도록 취업과 정주까지 지원한다.

개별 대학에서 어려운 해외 대학과의 인재 교류 및 융합 교육은 서울시 차원에서 컨소시엄을 구성해 진행할 방침이다. 또한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전국 대학 간 협업을 통한 연구 역량 강화 및 교육 자원 상호 공유도 추진한다.

서울시는 지난 7년간 대학 재정지원 사업 '캠퍼스타운'을 통해 쌓은 노하우가 라이즈 사업에서도 강점이 될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다만 아직 교육부가 사업계획을 심의 중이라 국비 지원 규모는 확정되지 않았다.

서울 성장 동력 주춤...고부가가치 산업·인재 육성 시급

서울시가 라이즈 사업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도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고부가가치 산업 및 인력 육성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전문성을 확보한 산업기술인력은 전국적으로 감소세이고, 2022년 기준 전체 산업기술인력 부족 인원의 19.2%는 서울에 집중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글로벌 경쟁에서 산학협력은 기술혁신과 시장 확대의 동력"이라며 "지역 특성에 맞춘 서울형 라이즈 사업을 통해 대학들이 '혁신 전초기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민순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