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은 임기에 비례하지 않는다… ‘가장 위대한 전직 미국 대통령’ 카터 영면

입력
2024.12.31 04:30
1면
향년 100… “평화·인권 신봉자들에 영웅”
퇴임 뒤 봉사·헌신… 실패자서 귀감으로
김일성과 담판… 트럼프도 2차례 추모글

‘가장 위대한 전직 미국 대통령’ 지미 카터가 100세를 일기로 영면했다. 재선에 실패했지만 퇴임 뒤 세계 평화와 인권 개선을 위한 왕성하고 폭넓은 봉사, 헌신으로 대중의 인식을 뒤집고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24년 10월 태어난 그는 최장수 전직 미국 대통령이기도 했다.

카터 전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간) 미 조지아주(州) 플레인스 자택에서 세상을 떠났다. 고인의 아들 칩 카터는 성명에서 “부친은 나뿐 아니라 평화, 인권, 이타적 사랑을 믿는 모든 이에게 영웅이었다”고 말했다.

2015년 흑색종(피부암)이 간과 뇌로 전이됐다는 진단을 받은 뒤 합병증을 앓아 온 고인은 지난해 2월 연명 치료를 중단하고 집에서 가족과 남은 시간을 보내겠다고 발표하며 영원한 작별을 준비해 왔다. 그해 11월 96세였던 배우자 로절린 여사를 먼저 보내기도 했다.

존경으로 바뀐 경멸

민주당 소속 제39대 미국 대통령이었던 고인은 해군 장교로 복무한 뒤 땅콩농장을 운영하다 남부 조지아 주상원의원과 주지사를 지냈고, 1976년 대선에서 승리했다. 1980년 재선에 도전했지만 공화당 로널드 레이건 후보에게 크게 졌다.

재임 기간 인권·외교 분야가 돋보였다. 당시로서는 기록적인 수의 여성과 비(非)백인을 연방정부 직책에 임명했고, 1978년 9월 이집트와 이스라엘 지도자를 미국 대통령 별장인 캠프데이비드로 불러 중동 평화 협상을 중재했다.

그러나 경제 위기와 외교 악재를 극복하지 못했다. 1977년 연평균 6.5%에서 1980년 13.5%까지 치솟은 물가 상승률과 1979년 11월부터 1981년 1월까지 444일간 이어진 ‘이란 인질 사태’가 그의 인기를 끌어내렸다.

백악관을 떠날 때 고인의 나이는 57세에 불과했다. 귀향한 그는 퇴임 이듬해인 1982년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비영리기구 카터센터를 세웠고, 이를 발판 삼아 △인권 증진 △갈등 해결 △제3세계 부정선거 감시 △빈곤국 질병 퇴치 등으로 오히려 활동 폭을 넓혔다.

특히 평화는 고인이 줄곧 놓지 않은 화두였다. 평화 중재자를 자임한 그는 1994년 북한이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을 거부하며 1차 북핵 위기가 불거지자 직접 평양을 방문해 김일성 주석을 만났고 핵 활동 동결 약속 및 남북정상회담 동의를 받아 냈다. 에티오피아, 수단, 아이티, 세르비아·보스니아 등의 분쟁 해결에도 나섰다. 2002년 노벨평화상 수상은 이런 공로를 인정받은 결과였다.

1980년대부터 비영리단체 ‘해비타트 포 휴머니티’와 함께 진행한 집짓기 봉사도 그를 귀감으로 떠올리게 만드는 일 중 하나다. 미국 뉴욕타임스는 “(1981년) 퇴임 직후 경멸에 가까웠던 카터 평가가 40여 년이 지난 지금 존경으로 바뀌었다”며 “대통령 임기 이후 유산이 진화한 셈”이라고 논평했다. 실제 여론조사기관 갤럽에 따르면 퇴임 당시 34%였던 카터 지지율이 최근 몇 년간 사람들의 회고적 재평가에서는 57%까지 상승했다.

바이든과의 반세기 인연

카터 전 대통령 장례식은 국가가 주관하는 국장으로 진행된다. 퇴임 뒤 고인의 활동 거점 조지아주 카터센터에 36시간 안치된 유해는 이후 수도 워싱턴으로 운구된 뒤 의사당 중앙홀에 다시 36시간 안치되며 조문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워싱턴대성당에서 치러지는 장례식 추도사는 생전에 고인의 부탁을 받은 조 바이든 대통령 몫이다.

고인과 바이든 대통령은 근 반세기 인연이다. 1973년 델라웨어주 연방 상원의원으로 중앙 정계에 입문한 바이든 대통령은 3년 뒤 대선을 앞두고 민주당 대선 후보로 무명이나 마찬가지였던 카터를 지지했다. 이날 휴가지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세인트크루아섬에서 생방송으로 애도 연설을 한 바이든 대통령은 “카터는 말이 아닌 행동으로 평가되는 삶을 살았다”고 회고했다.

생전에는 ‘최악의 대통령’이라며 고인을 비판해 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도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두 차례 추모 글을 올렸다. “나는 그와 철학·정치에 관해 의견이 달랐지만 그는 미국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 열심히 일했다. 최고의 존경을 표한다”고 적었다.

워싱턴= 권경성 특파원
이유진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