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고금리·고환율'에 대기업 11곳도 부실 징후가 보인다
고금리·고물가·고환율 등 '3고(高) 현상'이 장기화하면서 부동산, 자동차, 고무·플라스틱 등 업종에서 부실징후기업이 늘었다. 대기업 11곳도 부실징후기업으로 꼽혔는데 이 중 7곳은 부실화 가능성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에 따르면 채권은행은 올해 230개사를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했다. 신용위험평가에서 C등급 이하인 기업이 부실징후기업이다. 지난해 231개사보다는 1개사 줄어들었지만, 지난해에는 이미 2023년보다 부실징후기업의 수가 25%나 증가하면서 최근 10년 간 가장 많은 수준을 기록한 바 있다. 부실의 질은 더욱 나빠졌다. 가장 낮은 신용위험평가 등급인 D등급을 받은 기업의 수는 130개로 지난해보다 17개가 늘었다. C등급은 정상화 가능성이 있는 부실징후기업인 데 반해, D등급은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기업이다. 부실징후기업 중 대기업은 11개로 지난해보다 2개 늘었는데, C등급이 4곳, D등급이 7곳이었다. 금융당국은 경기 회복 지연으로 인한 업황 부진, 원가상승 및 고금리 장기화 등에 따라 기업의 경영악화가 심화된 점을 원인으로 꼽았다. 국내기업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2022년 9월말 0.23%에서 올해 9월말 0.52%로 2배 이상 뛰었다. 영업 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으로 이자 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한계기업의 비중도 2021년 말(중소기업 기준) 15.5%에서 2022년 말 16.3%, 2023년 말 17.4%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업종별로 부실징후기업은 부동산업이 30개사로 가장 많았고, 자동차(21개), 고무·플라스틱, 기계·장비(각 18개), 도매·중개(14개) 순이었다. 전년 대비 부동산업(+8개), 자동차업(+4개), 전문직별 공사업(+4개) 등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했다. 금융당국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은행권 신용공여 규모는 2024년 9월말 기준 1조9,000억 원으로 국내은행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면서도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해 워크아웃 또는 회생 등 법적 구조조정 등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영업력은 있으나 금융비용 상승으로 일시적 유동성 애로를 겪는 기업에 대해 신속금융지원, 프리(사전)워크아웃 등을 통한 금융지원을 할 것"이라면서 "필요시 부실을 신속히 정리해 시장 불확실성을 해소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