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투자도 역시나 '미국'이었다. 국내 금융권의 올해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는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북미 투자는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56조3,000억 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1조3,000억 원 감소했다. 대체투자는 주식·채권 같은 전통적 투자 상품이 아닌 부동산 등 다른 투자 방식을 뜻한다.
해외 부동산 총 투자 규모는 줄었지만, 미국 부동산 투자는 오히려 늘었다. 지역별로는 북미가 35조2,000억 원(62.5%)으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 말(34조8,000억 원) 대비 4,000억 원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유럽(11조5,000억 원→10조5,000억 원)과 아시아(4조2,000억 원→3조9,000억 원), 기타 복수지역(7조2,000억 원→6조7,000억 원) 등 북미를 제외한 모든 지역 투자가 감소한 것과 대조적이다.
금융권별로 살펴보면 보험이 31조2,000억 원(55.3%)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은행 11조7,000억 원(20.7%), 증권 7조8,000억 원(13.8%), 상호금융 3조6,000억 원(6.4%), 여전 2조1,000억 원(3.6%) 순이었다.
부실 우려가 있는 부동산은 2조6,100억 원 규모다. 금융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34조7,000억 원 중 7.5%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전년 말 대비 2,000억 원 증가했다. 기한이익상실은 선순위 채권자에 대한 이자·원금 미지급, 자산가치 하락에 따른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조건 미달 등의 사유로 대출금을 만기 전에 회수하는 것을 말한다.
금감원은 국내 금융회사 투자 비중이 높은 오피스 시장이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등 손실 확대 가능성이 여전하다고 분석하면서도 투자손실이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기한이익상실 등 특이동향 사업장에 대한 밀착 모니터링과 함께 손실흡수능력 확충 유도 등 감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