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지역 고령화 등으로 제주지역 내 빈집이 늘고 있다. 빈집 대부분은 안전조치나 수리를 통해 거주나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도는 도내 방치된 빈집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1년 이상 거주하지 않거나 사용하지 않은 주택 1,159채를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2019년 862채에 비해 34.5%(297채)가 증가한 것이다. 이번 조사는 2019년에 이어 두 번째로 실시한 5년 단위 실태조사다.
조사 결과 행정시별 빈집 비율은 제주시 68%, 서귀포시 32%로 집계됐다. 농어촌지역은 66%를 차지, 도시지역(34%)에 비해 2배 가량 많았다. 읍면별로는 제주시 한경면(110채·9.5%), 한림읍(102채·8.8%), 애월읍(93채·8.0%) 등 서부지역에 집중됐다. 서귀포시는 대정읍(60채·5.2%), 성산읍(47채·4.1%), 표선면(46채·4.0%) 순으로 빈집 비율이 높았다.
빈집을 등급별로 보면 안전조치나 수리 후 활용할 수 있는 2등급 빈집이 73.2%로 가장 많았다. 곧바로 사용가능한 1등급 빈집도 9.5%로 조사됐다. 반면 철거해야 하는 3등급 빈집은 17.3%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에 위탁해 진행된 이번 조사는 전기·수도 사용량과 비어있거나 낡은 건물 현황을 사전 분석했다. 이를 통해 빈집으로 추정되는 3500채를 선별한 뒤, 11개월간 현장 조사를 통해 실제 빈집 여부와 건물 상태 등급을 평가했다.
양창훤 제주도 건설주택국장은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주연구원에 용역을 의뢰해 내년 빈집정비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라며 “현재 행정시에서는 매년 빈집정비사업을 통해 위험도가 높은 3등급 빈집을 우선으로 철거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