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취업자 수가 1년 전에 비해 12만 명 늘며, 증가폭이 다시 10만 명대로 올라섰다. 하지만 자영업과 제조업 일자리 감소폭은 여전히 커 '고용 한파'는 좀처럼 나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882만1,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2만3,000명 증가했다. 10월(8만3,000명)과 비교하면 한 달 만에 증가폭이 10만 명대로 올라섰으나, 올해 초 증가폭이 20만~30만 명에 달했던 것을 고려하면 일자리 부족 우려는 잦아들지 않고 있다.
건설업, 도소매업, 제조업의 고용 부진이 지속됐다. 건설업 취업자는 9만6,000명이 감소하며 7개월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제조업 일자리는 9만5,000명이 줄어 1년 7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뒷걸음쳤다. 도소매업 취업자는 8만9,000명이 감소했다.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서비스업 일자리도 8만6,000명이 줄었다. 2018년 12월(-8만9,000명) 이후 5년 11개월 만에 최대 감소폭이다. 서운주 사회통계국장은 "제조업 일자리는 5개월 연속 감소하는 추세"라며 "전자부품, 의복, 종이 펄프류 등의 감소폭이 커졌고 건설경기 악화로 인력파견을 비롯한 사업지원서비스업의 일자리 감소폭이 두드러졌다"고 말했다.
자영업도 예외는 아니었다. 비임금 근로자가 4만8,000명 급감했는데, 특히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가 3만9,000명 감소하면서 2021년 9월 이후 3년 2개월 만에 최대 감소폭을 보였다. 1인 자영업자뿐만 아니라 영세 소상공인 전반으로 고용시장이 위축되고 있다는 얘기다.
고령층이 고용시장을 견인하는 모습도 지속됐다. 60세 이상 취업자는 29만8,000명 늘며 전체 연령대 가운데 증가폭이 가장 컸다. 반면 20대 일자리는 18만 명이 줄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15∼64세 고용률은 69.9%로 1년 전과 비교해 0.3%포인트 올랐다. 실업자는 65만6,000명으로 1년 전보다 2만1,000명 감소하고 실업률은 0.1%포인트 떨어진 2.2% 기록했다. 취업 준비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 인구는 17만9,000명(8.0%) 증가했다.
정부는 일자리 확대를 서두르겠다고 밝혔다. 직접일자리 채용을 올해 117만8,000명에서 내년 123만9,000명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1월부터 바로 채용, 1분기 중 90%가량인 약 110만 명 이상을 채용하겠다는 목표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일자리전담반(TF)회의를 열고 "건설업·제조업 고용 감소와 청년·소상공인 등 고용취약계층의 어려움이 지속되는 가운데, 대내외 불확실성도 매우 큰 상황"이라며 "일자리전담반 등을 통해 고용을 비롯한 경제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