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미분양 4년여 만에 최대…내년도 비수도권 부동산 경기 ‘흐림’

입력
2024.11.29 14:10
3면
준공 후 미분양 1만8307호
2020년 7월 뒤로 가장 많아
비수도권에서만 1만4400호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4년 3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대부분이 비수도권에 집중돼 내년에도 부동산 경기 양극화 현상이 심화할 전망이다.

2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미분양 주택은 6만5,386호로 전월보다 940호(1.4%) 줄었다. 그러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1만8,307호로 한 달 만에 1,045호(6.1%) 증가했다. 2020년 7월(1만8,560호) 뒤로 가장 많은 수준이다. 인천에서 992호가 증가한 영향이 컸다.

그러나 준공 후 미분양 대다수(1만4,464호)는 비수도권에 몰려 있다. 비수도권 물량은 2020년 12월 1만761호에서 2022년 12월 6,226호까지 줄었지만 올해부터 다시 늘어났다. 주요 지역별로는 전남(2,480호)이 가장 많다. 부산(1,744호) 대구(1,579호) 경남(1,665호) 경북(1,248호) 울산(1,056호) 제주(1,339호)도 물량이 많이 쌓였다. 나머지는 지역별 물량이 1,000호보다 적다.

비수도권 주택 경기는 내년에도 부진할 전망이다. 신축 아파트마저 주인을 못 찾는 상황이 이어진다는 것이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건정연)은 이번 주 발표한 내년 전망에서 수도권 집값은 1% 상승하는 반면 비수도권은 보합세를 보인다고 예측했다. 경기 하강 이유로는 △비수도권 미분양 주택 증가 △지방 소멸 현상으로 인한 수요 감소 등을 꼽았다.

건정연은 “정부가 비수도권 미분양 주택 해소를 위해 CR리츠(기업구조조정 부동산투자회사)를 도입했지만 고질적 문제가 단기간에 해결되기는 어려워 보인다”며 “비수도권 미분양 주택이 해소되지 않으면 시장이 위축되고 다시 수도권-비수도권 집값 양극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지난달 주택 매매는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증가해 전월보다 10.4% 늘어난 5만6,579건을 기록했다. 수도권(2만5,011건)은 3.2% 감소했지만 비수도권(3만1,568건)은 24% 증가했다. 특히 서울 주택 매매는 올해 1월(5,000여 건)부터 7월(1만3,000여 건)까지 꾸준히 증가했지만 8월부터 세 달 연속 감소했다. 정책 대출을 줄인 영향이 수도권에 집중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민호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