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대입에서 무전공 선발 인원이 대폭 늘어난 가운데, 정부가 이런 변화에 따른 수험생 혼란을 줄이겠다며 확대한 공공 입시상담 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도 입시 결과가 충분치 않다는 단순한 이유인데, 무전공 선발 확대가 대학의 자율적 결정보다는 정부의 정책 의지가 강하게 작용한 결과물이란 점을 감안할 때 정부 준비가 소홀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늘어난 입시상담 수요가 사설 업체로 쏠려 사교육비 증가를 초래할 거란 우려도 제기된다.
23일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로부터 받아본 자료에 따르면, 대교협 대입정보포털 '어디가' 내 상담 프로그램에서 무전공 지원 가능성을 묻는 질문이 나오자 대교협 측은 "올해 합격선을 예측하기 어렵다"고만 답했다. 답변일은 8월 18일로, 수시모집 원서 접수를 20여 일 앞둔 시점이었다.
전공자율선택제로도 불리는 무전공제는 학과·전공 구분 없이 대학에 입학해 진로를 탐색한 뒤 2학년이 될 때 원하는 전공을 선택하는 방식이다. 올해 입시에서는 수도권대 51개교와 국립대 22개교가 내년 신입생 3만7,935명을 무전공으로 모집한다. 73개 대학 전체 모집 인원의 28.6%로, 전년보다 3.8배 늘어난 규모다.
무전공 대폭 확대로 혼란이 우려되자, 교육부는 지난 6월 '공공 입시상담 확대'를 대책으로 내놨다. '어디가' 등을 통해 현직 고등학교 진학 담당 교사로 구성된 대입상담교사단의 상담을 활성화하겠다는 내용이었다. 해당 상담은 무료로 이뤄지는 데다가, 교사들이 협력학교의 도움으로 전년도 합격·불합격 사례를 모아 상담을 진행한다는 점에서 사설 학원과 차별화된다는 평을 받아왔다.
하지만 상담교사단은 무전공 전형에서만큼은 제 기능을 하지 못했다. 수험생이 무전공 확대에 따른 전략을 묻자 이들은 "전년도 입시결과를 기준으로 전략을 세우는 것이 일반적인데, 대부분의 대학에 전년도 입시결과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존에 준비한 학과와 자율전공학부를 동시에 고려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며 사실상 무의미한 답변을 내놨다.
무전공 확대 국면에서 공공 입시상담의 강점이 사라진 것 아니냐는 김 의원 측 질의에 대교협 대입상담센터 관계자는 "신설된 전형은 상담이 어려운 게 사실"이라고 인정했다. 다만 "무전공과 유사한 자율전공학부를 운영하는 대학에 대해선 이를 바탕으로 상담을 진행 중"이라며 "수험생의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결국 사설 입시상담 업체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거란 우려도 나왔다. 김 의원은 "상담 시스템이 아무리 제대로 구축돼 있어도 정부가 대입전형 도입 속도를 제대로 조절하지 못하면 무용지물이 돼버린다"며 "공공 상담이 불충분하다고 느끼면 수험생과 학부모는 사교육 입시 컨설팅으로 향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