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확인(2016)

입력
2024.12.09 04:30
25면

편집자주

매일매일, 시시각각 한국일보 플랫폼은 경쟁매체보다 빠르고 깊은 뉴스와 정보를 생산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1954년 창간 이래 역사의 물줄기를 바꾸거나 국민적 감동을 이끌어낸 수많은 특종이 발굴됐다. 지난 70년 다수의 특종과 사건 중 파장이 컸던 내용들을 연도별로 안배해 ‘70대 특종’을 골라내 뉴스 이용자들에게 소개한다.

2016년 10월 12일 자 한국일보 1면에 소문으로 알려졌던 문화계 블랙리스트의 실재를 확인하는 특종 기사가 게재됐다(사진). 당시 박근혜 대통령의 청와대가 2015년 현재 문화예술계에서 검열해야 할 9,473명의 명단을 작성해 문화체육관광부로 내려보냈다는 주장과 이를 뒷받침하는 자료였다. 전날 도종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정감사에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회의록을 토대로 '청와대가 정치검열을 위한 예술계 블랙리스트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 것과 궤를 같이하는 자료이기도 했다.

한국일보가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문제의 블랙리스트는 관련 인사들을 크게 네 부류로 나누고 있었다. 2015년 5월 1일 ‘세월호 정부 시행령 폐기 촉구 선언’에 서명한 문화인 594명, 2014년 6월 세월호 시국선언’에 참여한 문학인 754명, 19대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 지지 선언’에 참여한 예술인 6,517명, 2014년 서울시장 선거에서 ‘박원순 후보 지지 선언’에 참여한 1,608명이었다.

이 자료를 넘겨준 인사는 불편부당한 중도 언론으로서 한국일보의 위치에 공감, 심사숙고 끝에 역사적 흐름을 바꾸는 자료를 공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한국일보 기사는 “(해당 자료의) 표지 뒤에는 9,473명의 구체적 명단이 리스트로 붙어 있었고, 이 때문에 이 문건은 A4용지로 100장이 넘어가는 두꺼운 분량이었다”는 제보자의 설명도 함께 소개했다.

문화계 블랙리스트는 최순실 사태가 터지기 직전이던 긴박했던 당시 정국과 맞물려 큰 파장을 일으켰다. 주요 언론의 후속 보도가 이어졌고, 가뜩이나 하락세였던 박근혜 정권의 국민적 신뢰는 더욱 추락하게 됐다. 그 이후의 역사는 사상 최초의 현직 대통령 탄핵과 구속으로 이어졌다.

해당 특종을 보도한 조태성 기자는 이달의 기자상 수상소감으로 “블랙리스트 이후 서로가 서로를 의심하고 못 믿는, 그런 상황이 제법 되는 것 같다. 이 파문이 온전하게 정리된 뒤, 이 모든 바람이 잦아든 뒤 그분들 모두가 웃음을 되찾을 수 있길 기원한다”고 말했다.

연관기사
• [한국일보 70년·70대 특종]<56>저성장 시대, 한국인의 행복리포트(2016)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91213500000059)
• [한국일보 70년·70대 특종]<55>광복 70주년, 독립운동가 70년(2015)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90910320003600)
• [한국일보 70년·70대 특종]<53>현직 판사, 사채업자로부터 3억 수수(2014)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90615090002918)
• [한국일보 70년·70대 특종]<52>통진당 해체, 이석기 녹취록(2013)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90614120001251)
• [한국일보 70년·70대 특종]<51>척박한 얼음의 땅 그린란드 탐사(2011)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90214310003821)





창간70주년 준비기획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