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 땅으로 돌아갈 수 있길"...한인덕 월미도 귀향 대책위원장

입력
2024.09.11 18:40
22면
상륙작전 닷새 전 미군 폭격에 110명 희생
귀향대책위 "인천시·국방부 떠넘기기만"

"희생자들의 넋이 고향과 가족을 잃고 떠돈 지 벌써 70여 년이 지났지만 오늘도 귀향의 소망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인천상륙작전 74주년을 나흘 앞둔 11일 인천 중구 월미공원 제물포마당에서 열린 민간인 희생자 추모 및 헌화 행사에서 한인덕(81) 월미도귀향대책위원회(대책위) 위원장은 이렇게 안타까움을 토로했다. 유정복 인천시장과 양용모 해군 참모총장은 이곳에 마련된 월미도 원주민 희생자 위령비에 헌화했다. 2005년부터 대책위를 맡고 있는 한 위원장은 "두 분의 추모와 헌화는 기쁜 일이지만 인천시와 국방부가 국민 권리를 보호하는 데 더 나서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월미도귀향대책위는 인천상륙작전 이듬해인 1951년 꾸려졌다. 일제강점기에 인천 시내 북성동 등으로 강제로 이주해야 했던 월미도 원주민들은 해방과 함께 고향을 되찾았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6·25 전쟁이 발발한 뒤 인천상륙작전을 닷새 앞둔 1950년 9월 10일 고향에서 다시 내쫓겼고 그 후 다시 돌아가지 못했다.

제1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2008년)에 따르면 상륙작전을 앞두고 당시 미 해병대 항공단 전폭기는 월미도에 네이팜탄 95발 등을 쏟아부었다. 항공기 사격도 이뤄졌다. 월미도를 장악한 북한군 400여 명을 제압할 목적이었지만 그 과정에서 원주민 110명이 희생됐다. 당시 월미도에는 80여 가구, 600여 명이 살고 있었다고 한다. 월미도 원주민의 아내인 한 위원장은 "(10일) 아침과 점심, 저녁 세 차례 원주민 땅을 가장 먼저 폭격했고 날이 흐렸던 11일 쉬고 12~14일 또 폭격이 이어졌다고 들었다"고 당시 상황을 들려줬다.

몸에 개흙을 묻히고 숨어 겨우 목숨을 부지한 원주민들은 창고 등을 전전하며 비참하게 살아야 했다. 인천시는 1955년 월미도에 주둔 중인 미군이 철수하면 고향에 돌아갈 수 있게 해주겠다고 원주민들에게 약속했지만 지켜지지 않았다. 1970년 미군 철수에 이어 주둔한 우리 해군이 1971년 원주민들 땅에 대한 보존등기까지 하면서 돌아갈 길은 요원해졌다. 원주민들은 폭격으로 당시 동사무소 등에서 보관하고 있던 서류가 불에 타 자신들의 땅이라는 사실을 증명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2001년 해군이 떠났으나 땅은 원주민이 아닌 인천시에 넘어갔고 2년 뒤인 2003년 그 자리에 월미공원이 들어섰다. 인천시는 진실화해위 권고에 따라 2008년부터 추모 행사를 지원하고 2020년부터는 인천에 거주하는 원주민과 유족 등에게 월 25만 원의 생활안정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귀향에 대해서 뾰족한 대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대책위는 월미공원 일부를 용도변경해 돌려달라고 요청하고 있으나 현실의 벽은 높다. 국회에서 특별법 제정도 추진했으나 다른 실향민들과의 형평성 문제로 물거품이 됐다. 한 위원장은 "국방부는 땅이 인천시에 넘어갔으니 인천시에 얘기하라며 말을 들어주지도 않고 있고 인천시는 아무런 답을 하지 않고 있다"며 "고향을 되찾아 월미산에서 흐뭇하게 망향가를 부를 날을 유족들은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환직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