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자상거래(이커머스) 1위 업체인 쿠팡이 총 3조 원을 투자해 2025년까지 경북 김천, 광주 등에 신규 물류센터 9개를 짓기로 했다. 2027년까지 '쿠세권(로켓배송 가능 지역)'을 전국으로 확장하기 위한 포석이다. 이에 따라 지방을 중심으로 1만 개 넘는 직고용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방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는 인구 유출 현상이 조금이나마 완화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쿠팡은 3일 "내년 말까지 9개 지역에 풀필먼트센터(FC)1를 비롯한 물류 시설을 건립,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3월 쿠팡은 3조 원 이상을 투자해 2027년까지 로켓배송 적용 지역을 전국으로 넓히겠다고 알렸다. 이후 6월 공정거래위원회가 쿠팡의 자체 브랜드(PB) 상품 우대 사건에 대해 과징금 1,400억 원을 부과하고 쿠팡 측이 강하게 반발하며 '3조+α’ 투자의 불확실성이 커졌다. 하지만 이날 구체적 투자 일정을 공개하며 의지를 재확인한 것이다.
먼저 쿠팡은 10월까지 대전 동구 남대전 지역과 광주에 FC 공사를 마무리하고 3,300여 명을 뽑을 계획이다. 또 8월 가동을 시작한 충남 천안 FC는 500명을 채용한다. 각각 500명과 400명을 채용할 계획인 경북 김천 FC와 울산 서브허브2는 10월 공사를 시작한다. 고용 규모가 큰 부산 강서구 FC(3,000명)와 경기 이천시 FC(1,500명)도 건설 중이다. 내년 말까지 이들 물류 시설이 모두 들어서면 쿠팡이 직접 고용하는 인원은 1만 명에 달할 전망이다.
현재 쿠팡 물류·배송 인력(5만5,600명)이 서울 바깥 지역에서 일하고 있다. 여기에 1만 명이 더해지면 6만5,000명이 비(非)서울 지역에서 일하게 되는 셈이다. 이렇게 되면 쿠팡과 쿠팡풀필먼트서비스,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가 직고용하는 전체 인력 8만여 명 중 81%가 서울 아닌 곳에서 근무한다. 쿠팡이 만드는 일자리 10개 중 8개는 지방인 셈이다.
쿠팡이 물류 시설을 짓는 곳은 이천시를 빼면 모두 청년 인구 유출 문제가 심각하다. 최근 5년(2019~2023년) 동안 대전 동구의 2030 순이동 인구(전입-전출)는 마이너스(-) 4,679명이다. 그만큼 젊은이들이 빠져나갔다는 의미다. 칠곡(-6,050명), 김천(-3,264명) 또한 마찬가지다. 더 좋은 일자리를 찾겠다며 지역 청년들이 서울과 수도권으로 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곳에 물류센터 현장·사무직과 배송직(쿠팡친구) 같은 직고용 일자리가 생기면 탈(脫)지역 흐름도 완화하고 지역 경제도 활성화될 것이라고 쿠팡 측은 기대한다. 이들 일자리는 모두 주 52시간제가 적용된다.
특히 제조업 중심인 지방 특성상 양질의 일자리를 구하기 쉽지 않은 지역 여성들에게도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도 쿠팡 물류·배송직의 절반 가량이 여성이다. 쿠팡 측은 "육아휴직 복직 프로그램 등 건강한 일터 조성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쿠팡은 6조2,000억 원을 물류망 구축에 투자해 전국 30개 지역에 100여 곳의 물류 인프라를 갖췄다. 3조 원 투자가 내년 말께 마무리되면 2027년부터는 전국 260개 시·군·구 중 230여 곳(88%)에서 로켓배송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회사 관계자는 "물류센터 건설에 따른 전후방 산업의 파급 효과가 크기 때문에 지역 경제 활성화 효과도 상당할 것"이라며 "생활필수품과 식료품을 구매하기 어려웠던 도서·산간 지역 고객들도 무료 배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