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어제 신임 정책위의장에 김상훈(4선) 의원을 내정했다. 친윤석열계 정점식 정책위의장이 계파 간 신경전 끝에 사의를 표명한 지 하루 만이다. 지명직 최고위원에는 원외 인사인 김종혁 전 조직부총장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한 대표가 최고위원회의에서 의결권을 가진 지도부 9명 중 과반(5명)을 본인을 포함해 친한동훈계 인사로 채우면서 당 운영의 주도권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
당직 개편을 통해 명실상부한 '한동훈당'이 된 만큼 한 대표의 책임은 무거워졌다. 더 이상 용산·친윤 탓으로 돌릴 수 없게 됐다는 뜻이다. 한 대표의 윤석열 대통령 독대 이후에도 정 정책위의장 유임 여부를 둘러싼 친윤·친한 신경전은 계파 갈등의 불씨가 여전함을 보여주고 있다. 한 대표가 대구·경북(TK) 출신이자 계파색이 옅은 김 의원을 정책위의장에 내정한 배경일 것이다. 이를 통해 당내 화합은 물론 대통령실에 고언을 아끼지 않으면서 건강한 당정관계를 만들어야 한다.
한 대표는 전대 출마 당시 "대표가 되면 제3자 추천 방식의 채 상병 특검법을 발의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취임 이후 친윤 반대를 의식한 탓인지 별다른 움직임을 취하지 않고 있다. 최근엔 일부 친한 인사들마저 제3자 추천 방식의 특검법에 부정적 태도로 선회했다. 이러니 더불어민주당 등에서 "애초부터 특검법을 발의할 생각이 없었던 게 아니냐"고 반응하는 게 아닌가. 용산과 친윤 주장처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에 대한 소환조사도 안 한 공수처 수사만 기다릴 게 아니라, 한 대표가 이들을 설득해 특검법을 발의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한 대표 선출은 용산 눈치만 보며 무기력했던 여당의 변화를 촉구하는 당심과 민심이 반영된 결과다. "국민 눈높이에 반응하겠다"던 한 대표의 수락연설은 여당부터 변하겠다는 다짐일 것이다. 무엇보다 한동훈 체제에 대한 기대가 식기 전에 국민 다수가 지지하는 채 상병 특검법과 당정관계 재정립, 정치 복원 등에서 선제적 조치로 가시적 성과를 이끌어 내야 한다. 거대 야당을 탓하면서 역풍이 불기만을 기다리는 '웰빙 정당'에서 하루빨리 벗어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