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니예 암살'에 전운 짙어지는 중동… 가자전쟁 휴전도 사실상 '사망 선고'

입력
2024.08.01 18:01
1면
NYT "이란, 이스라엘에 직접 보복 방침"
보복 수위에 확전 여부 달려… 전운 고조
가자 전쟁 휴전협상 희망도 물거품으로

중동 내 전운이 한층 짙어지고 있다.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정치국 최고 지도자 이스마일 하니예 암살과 관련, 이란이 이스라엘에 '직접 보복'을 준비하는 것으로 전해지면서다.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 휴전 협상을 주도해 온 하니예가 살해당해 휴전도 사실상 좌초되면서 확전 위기감은 더욱 고조됐다.

이란, 이스라엘에 '직접 보복'하나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이란 관리 3명을 인용해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가 이날 긴급 소집한 최고 국가안보회의에서 '이스라엘에 대한 직접 보복'을 지시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확전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이스라엘이나 미국의 재보복에 대비한 공격 및 방어 계획도 세우도록 명령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하마스는 이날 오전 성명을 통해 "하니예가 테헤란 거처를 노린 시온주의자들(이스라엘)의 기만적 습격으로 사망했다"고 밝혔다. 주로 카타르에 머물던 하니예는 지난달 30일 이란 수도 테헤란에서 열린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신임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했다가 이튿날 새벽 테헤란 외곽 거처를 타격한 미사일 공격으로 숨졌다.

이란 입장에서는 대통령 취임식 초대 손님이 자국 수도 한복판에서 이스라엘에 살해된 충격적 사건이다. 굴욕적일 뿐 아니라 위협적인 상황이기도 하다. NYT는 이란 관리들이 큰 충격을 받았고, "(이스라엘이) 레드라인(금지선)을 넘었다"는 표현까지 썼다고 전했다.

더욱이 하루 전 레바논 친(親)이란 무장 정파 헤즈볼라 고위급 인사를 겨냥한 이스라엘군의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 공습에서 이란 군 고문이 사망한 사실도 확인됐다고 이란 반관영 파르스통신은 이날 보도했다. 이란으로서는 보복 없이 넘어갈 수 없는 상황이다.

이스라엘은 또 지난달 13일 가자지구 칸유니스 공습으로 하마스 군사 지도자 서열 2위인 무함마드 데이프 알 카삼 여단 사령관이 숨졌다고 1일 발표했다.

관건은 보복 수위다. 지금까지 이란은 이스라엘과 정면 대결하는 대신 '저항의 축'(이란 중심 반서방·반이스라엘 동맹) 세력을 통한 대리전을 주로 벌여 왔다. 그러나 이란이 직접 나서 보복 공격을 감행한다면 중동 전체로 전선이 확대될 수밖에 없다. NYT는 "(이란 측) 반응의 규모에 따라 이스라엘과 친이란 연합 간 지역 전투가 본격적인 전면전으로 치달을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며 "이란이 얼마나 강력하게 대응할지, 그리고 확전을 피하기 위해 공격 수위를 조정할지는 불분명하다"고 설명했다.

이스라엘은 하니예 암살 책임을 인정하지도, 부인하지도 않고 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날 TV연설에서 "이스라엘은 친이란 세력에 중대한 타격을 가했다"며 최근 군사 작전 성과를 일일이 거론했지만 하니예 암살은 언급하지 않았다. 그는 또 "우리는 모든 시나리오에 대비하고 있고, 모든 위협에 맞서 단결하고 결의를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자지구 휴전 협상도 사실상 '좌초'

가자지구 전쟁 휴전 협상은 하니예 사망 여파로 사실상 어그러졌다. 하니예는 이스라엘과의 휴전 협상에 참여해 온 인물로, 하마스 내 강경파에 비해 온건한 성향으로 평가받았다. 한 아랍 관리는 "하니예는 협상의 가치를 알고 이를 달성하고자 했던 사람 중 한 명"이라고 미 워싱턴포스트(WP)에 말했다.

그런 하니예를 이스라엘이 암살한 이상 휴전 희망은 거의 사라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휴전 협상 중재국들도 "한쪽이 다른 쪽 협상가를 암살하는데 (협상) 중재가 어떻게 성공할 수 있겠나"(카타르), "위험한 이스라엘의 긴장 고조 정책이 협상 노력을 훼손했다"(이집트) 등 비판 성명을 잇달아 냈다. 외신 역시 "가자지구 휴전 희망은 실 한 올에 매달린 형국"(미 CNN방송), "하니예 암살은 휴전 협상에 대한 사망 선고일 수 있다"(WP)고 어두운 전망을 내놨다.

휴전 협상 좌초까지가 네타냐후 총리의 '노림수'일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네타냐후 총리는 자신의 정치 생명을 연장하기 위해 휴전 협상에 훼방을 놓는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휴전을 반대하는 극우 정당이 연정에서 이탈하면 네타냐후 총리는 집권을 유지할 수 없는 상황이다.

김나연 기자
베를린= 신은별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