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지역 89곳의 생활인구가 주민등록인구보다 5배가량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생활인구는 자연경관이나 지역축제 등 지역 관광자원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추정됐다. 인구감소지역 전체의 생활인구 수치가 나온 것은 처음이다.
행정안전부는 89개 인구감소지역에 대한 2024년 1분기 생활인구를 조사한 결과, 약 2,500만 명으로 산정됐다고 25일 밝혔다.
생활인구는 주민등록인구와 체류인구를 더한 것으로, 체류인구는 월 1회, 하루 3시간 해당 지역에 머문 사람의 숫자이며 정주인구와 유동인구의 중간 형태다.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시행되는 각종 정책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역경제 활성화, 국가균형발전에 기여할 목적으로 도입된 개념이다.
행안부 균형발전제도과 관계자는 “전체 인구감소지역의 등록인구 500만 명을 제외한 체류인구는 2,000만 명으로 주민등록인구보다 4배 많았다”며 “대부분의 지역에서 체류인구가 주민등록인구보다 2배 이상 많았다”고 설명했다.
조사 기간은 지난 1~3월으로, 이 기간 주민등록인구 대비 체류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전남 구례군이었다. 등록인구(약 2만4,400명)보다 18.4배 많은 사람들(44만9,206명)이 구례군을 찾았다. 이어 강원 양양군이 10.2배, 경남 하동군이 10배를 기록했다. 균형발전제도과 관계자는 “구례의 경우 산수유꽃 축제가 열리는 곳으로 해당 기간 방문객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체류인구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고 연령대로는 은퇴한 60세 이상의 비중이 높았다. 89곳 인구감소지역의 평균 체류 일수는 3.4일, 숙박을 한 경우 평균 숙박 일수는 4.0일로 분석됐다. 등록인구 대비 체류인구 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경북 영주시로 1.7배였고 이어 경북 영양군이 1.9배였다.
이번 수치는 행안부 주민등록 및 법무부의 외국인등록 자료, 통신 3사 모바일 자료를 결합해 산출됐다. 정부는 2분기부터는 신용카드 이용정보와 직장 정보 등을 추가로 결합해 보다 구체적인 체류인구의 특성 파악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이번 데이터가 맞춤형 지역 활성화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