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의 타자 지표에서 홈런과 도루는 가장 이질적인 조합이다. 요구되는 신체 능력의 원천이 달라서다. 홈런 타자가 도루도 잘한다는 건, 역도선수가 육상도 잘하는 것과 같은 이치라 하겠다. 그런 이유로 20홈런-20도루, 30홈런-30도루, 40홈런-40도루 달성은 이질적이라서 열광하는 기록의 조합이다.
□ KIA 타이거즈의 3년 차 내야수 김도영(20)이 24년 만의 한국인 선수 30-30 기록을 향해 가고 있다. 고교(광주동성고) 때부터 출중한 타격, 우타자인데도 1루까지 3초대에 주파하는 주력으로 전국 최고 야수였다. 고교 통산 홈런은 2개뿐이나, 타구가 빨라서 장타능력도 기대됐다. 프로 데뷔 후 꾸준히 성장하다, 올해 발사각(스윙궤적)을 높이고는 전반기에만 23홈런(2위)을 치며 슈퍼스타로 떠올랐다. 도루는 26개(5위)인데 체력 안배를 위해 자제할 정도라고 한다.
□ 전인적인, 르네상스형 타자의 상징은 1990년대 프로야구를 평정한 이종범(해태 타이거즈)이다. 도루왕이면서 홈런왕 경쟁을 했다. “타자는 이승엽, 투수는 선동열, 야구는 이종범”이란 말로 요약된다. 한국야구위원회(KBO)에서 시상하는 타이틀은 아니지만 WAR(대체선수 대비 승리기여도), OPS(출루율+장타율), wRC+(조정득점창출력) 지표가 전통적인 타율, 홈런, 타점 지표보다 더 중시되는 이유도 ‘야구’라는 종목의 복합성 때문이다. 김도영은 WAR, OPS, wRC+ 모두 1위이다.
□ 올해 프로야구는 전반기 600만 관중이 몰렸고 최초 1,000만 관중도 내다본다. 스트라이크와 볼을 기계가 판정하는 자동투구판정시스템(ABS) 도입으로 역전이 늘고, 촘촘한 순위싸움이 팬들의 마음을 붙든다. 김도영을 비롯해 김택연(두산 베이스), 박지환(SSG 랜더스) 등 젊은 선수들이 활력을 불어넣은 것도 큰 이유다. ‘백마를 탄 초인’은 아니라도 어느 분야에서나 기성세대를 넘어서는 혜성의 등장은 그 분야에 대한 신뢰, 애정의 원천이겠다. 새로운 스타는커녕 상식적인 기대주조차 고사해가는 한국 정치의 현실이 생각나는 건 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