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숙주(1417~1475)는 조선 전기의 명신(이름난 훌륭한 신하)이었다.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할 때 공적을 세웠으며, 세조의 최측근으로 영의정까지 지냈다. 그런 신숙주의 초상화가 국보가 된다.
국가유산청은 현존하는 공신 초상화 중 가장 오래된 '신숙주 초상'을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지정한다고 3일 밝혔다. 1977년 보물로 지정된 후 47년 만이다.
고령 신씨 문중이 소장한 '신숙주 초상'은 조선시대 초상화 중 '흉배' 형식이 처음으로 등장하는 작품이다. 흉배는 바탕천에 금박 혹은 문양을 직접 짠 기법이다. 그림 속 신숙주는 백한(꿩과 조류의 일종) 흉배가 장식된 녹색 관복을 입고 허리에는 삽은대(관복을 입을 때 착용하는 허리띠)를 두르고 있다. 이는 문관 3품에 해당하는 복식으로, 이 초상화는 1455년 신숙주가 '좌익공신(세조가 즉위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이 되었을 때 포상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세로 167cm, 가로 109.5cm의 비단 바탕에 채색된 이 그림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공신 초상이다. 신숙주의 영정을 봉안한 충북 청주 구봉영당에 보관돼 있다. 국가유산청은 "조선 전기 공신 초상을 대표하고 제작 당시의 원형을 비교적 충실하게 보전하고 있어 미술사적 가치가 높다"고 설명했다.
국가유산청은 조선 후기 학자 권상하의 초상화인 '권상하 초상', 조선시대 유학서 '유설경학대장', '전남 영광 불갑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 일괄 및 복장유물', '전남 해남 은적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등 4건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이날 국보와 보물로 지정 예고된 5건은 30일간의 예고 기간 동안 각계 의견 수렴과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유산으로 지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