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개보수, 대한제강 인력 감축…건설경기 불황 직격탄 맞은 철강업계

입력
2024.06.17 04:30
15면
현대제철, 인천 이어 당진도 하반기 감산 예정  
대한제강, 근무조 4개에서 3개 이하로 줄여 
2~4월 국내 철근 생산량 월별 16.9~30% 감소 
"중국산 덤핑 제재, 전기료 인하 등 검토해야"


현대제철이 인천공장에 이어 충남 당진공장도 개보수에 들어간다. 대한제강·와이케이스틸은 근무조를 줄이며 인력을 감축했다. 건설 경기 불황의 직격탄을 맞은 철강업계가 위기 탈출을 위해 몸부림치고 있다.

16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2월 말 시작한 인천공장 구조물 개보수 공사를 7월 마무리한 다음 이르면 9월 당진공장도 전기로를 멈추고 점검에 나선다. 전기로에서 건설 자재인 H형강, 철근 등을 만드는 현대제철은 해마다 2, 3주 정도 이 같은 공사를 해왔기 때문에 장기간 공사는 이례적이다. 회사 측은 "건설 자재용 철강 수요가 좋지 못하고 건설 비수기인 여름철에 재고가 쌓여 숨통을 틔우려는 것"이라며 "6월까지로 예정했던 개보수 기간을 한 달 더 연장했다"고 밝혔다.

건설 자재용 철근을 주로 생산하는 대한제강·와이케이스틸도 2023년 하반기부터 생산량을 크게 줄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이전엔 4개 근무조로 24시간 공장을 돌렸지만 근무조를 3개 이하로 줄였다. 주 7일 중 이틀가량은 조업을 중단한 셈이다. 대한제강은 부산과 경기 평택시, 와이케이스틸은 부산에 철강공장이 있는데 전체 가동률이 기존보다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상태라고 한다. 회사 측은 "건설 경기의 영향으로 철근 수요가 급감하다 보니 제강이 원가 이하의 시장이 됐다"며 "적자를 줄이려면 자발적 감산밖에 답이 없다"고 답답해했다.



"야간조업, 임원 '주5일 근무제' 복귀"


동국제강은 요즘 야간에만 주로 설비를 가동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24시간 돌리는 대신 가동률을 조정하고 있다"며 "비용을 줄여 원가를 조금이라도 낮추다 보니 전기료가 싼 시간에 조업하면서 시장 상황에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포스코는 아직 감산 계획은 세우지 않았다. 대신 세계 경기 침체 여파로 인한 영업이익 감소에 따라 비상근무체제를 운영 중이다. 올해 초 포스코가 철강업계 최초로 '격주 주4 근무제'를 도입했다가 최근 임원에 한해 다시 '주 5일 근무제'로 돌아가게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포스코의 2023년 매출은 38조7,720억 원, 영업이익은 2조830억 원이었다. 전년 대비 매출은 8.7%, 영업이익은 9.2% 각각 감소했다.


"철강업계 설비 지속 감축해왔는데도..."


국내 철강업계 부진은 통계로도 드러난다. 한국철강협회가 집계한 2~4월 국내 철근 생산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월별로 16.9~30% 감소했다. 1월에 7.7% 반짝 상승했지만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런 상황을 그냥 두면 건설 경기가 되살아나면서 업체들이 한동안 감산을 계속해 가격을 올리려 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때문에 정부가 중국산 열연, 후판, 철근 등 철강재 관련 덤핑(국내 판매 가격이나 생산비보다 싼 가격으로 상품을 수출) 제재와 원산지 표시 강화, 업계 전기료 인하 등 특단의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기간 산업인 철강업계 상황을 살피고 공급망에 문제가 생기면 긴급 자금 지원을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재윤 산업연구원 소재산업환경실장은 "철강업계는 공급 과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비를 계속 줄여왔다"며 업계가 불필요한 감산으로 담합 성격의 가격 조정에 나선 건 아니라고 봤다. 그는 "업계도 에너지 비용 절감 등 해법 찾기를 계속해야 한다"며 "생산 설비의 에너지를 높이고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을 위해 연구개발(R&D)도 속도를 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청환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