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문부과학장관이 일본 정부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사도 광산'에 대해 "에도 시대에 손으로 채굴한 것이 핵심"이라고 밝혔다고 4일 일본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사도 광산의 세계 유산으로서 가치와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은 관련이 없다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한 셈이다.
보도에 따르면 모리야마 마사히토 일본 문부과학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한반도 출신 사람들이 강제노동에 동원됐다는 한국 견해'에 대해 묻자 "한국이 주장하는 강제노동은 메이지 시대 이후 이야기"라며 이같이 말했다.
일본은 사도 광산을 세계유산으로 신청하면서 대상 시기를 에도 시대(1603~1868년)로 한정했다. 사도 광산은 일제강점기 시절 조선인 약 2,000명이 끌려와 가혹한 노역을 강요받은 현장이다. 일본은 과거사를 지우기 위해 이 기간을 의도적으로 배제하려 한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모리야마 장관이 언급한 메이지 시대는 1868~1912년이다.
모리야마 장관은 사도 광산의 가치에 대해 "세계 광산에서 기계화가 진행되는 16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전통적인 수공업으로 세계 최대급, 최고 품질의 금 생산을 실현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세계유산위원회 자문기구인 이코모스(ICOMOS·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의 사도 광산 평가 결과 공개와 관련해 "이제 곧이라는 느낌"이라며 "문화적 가치가 평가되는 것을 기대하며 행운을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이코모스는 각국이 신청한 유산을 조사한 뒤 △등재 권고 △보류 △반려 △등재 불가 등 네 가지 권고안 중 하나를 택해 당사국에 전달한다. 사도 광산 심사 결과는 이르면 이번 주에 공개될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의 사도 광산 등재 시도는 2022년 2월에 이어 두 번째로, 최종 등재 여부는 다음 달 하순 인도 뉴델리에서 열리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된다.
한국 정부는 일제강점기를 포함해 사도 광산 전체 역사가 반영돼야 한다는 입장으로, 이코모스 권고 내용에 이 점이 반영되도록 힘쓰고 있다. 한국 외교부는 지난 3월 사도 광산 등재 문제를 전담하는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외교전을 펼쳐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