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2045년 정부부채가 GDP 추월... 원인은 고령화"

입력
2024.05.19 15:30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전망
금리 높으면 더 빨라져

고령화 등의 여파로 2045년쯤 한국의 정부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을 넘어서는 수준으로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19일 블룸버그 산하 연구기관인 블룸버그인텔리전스(BI)에 따르면 권효성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발간한 재정 전망 보고서를 통해 현재 57% 수준인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이 2030년 70%, 2045년 100%, 2050년 120% 수준으로 크게 늘 것으로 예측했다. 급속한 저출생 고령화로 노동 가능 인구가 감소해 세수는 부진해지는 반면 사회보장 및 의료 서비스 비용은 증가하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달 국제통화기금(IMF)은 2015년 40.8%, 2019년 42.1%였던 한국의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이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2020년 48.7%로 급등했으며, 2021년에는 51.3%로 처음 50%를 넘었다고 추산한 바 있다. 이 수치는 지난해 55.2%를 기록했고 올해는 56.6%에 달할 것으로 IMF는 추산했다.

정부부채는 국가채무(국채·차입금·국고채무부담행위)뿐만 아니라 비영리 공공기관 부채도 포함한 개념이다. 지난해 한국의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은 일본(252.4%)·미국(122.1%)·독일(64.3%) 등 주요 7개국(G7)보다 낮고 비교적 건전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지만, 앞으로는 급격한 인구 구조 변화로 인해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

보고서는 또 향후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에 영향을 끼칠 최대 변수로 금리를 꼽았다. 정부의 이자지급 비용이 재정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금리가 기본 시나리오로 가정한 2%보다 1%포인트 올라갈 경우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이 2050년께 141%로 치솟을 수 있다. 반면 금리가 1%로 낮게 유지되면 같은 해 이 비율은 101%로 줄게 된다.

보고서는 지난해 정부가 재정지출을 전년보다 10.5%나 줄였는데도 감세와 세수 부진 여파로 여전히 적자 상태에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난 총선 결과 재정지출 확대를 주장하는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했지만, 지속 가능성을 위해 재정 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최진주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