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폐경 여성의 심장 이완기 기능 이상과 심혈관 질환 위험성 증가 간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다.
이완기 기능은 심장이 이완될 때 혈액이 심장으로 원활하게 흘러 들어갈 수 있게 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완기 기능이 떨어지면 심장이 효율적으로 혈액을 온몸에 전달하는 데 어려움이 겪게 되고, 심부전(心不全) 등 다양한 심혈관 질환에 노출될 수 있다.
박성미 고려대 안암병원 순환기내과 교수와 배성아 용인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교수 연구팀이 2012년 1월~2018년 5월 대한심장학회 여성심장질환연구회 데이터베이스(KoROSE)에 등록된 환자 가운데 폐경기 여성 795명을 대상으로 평균 771일간 추적 관찰했다.
조기 폐경(45세 미만)을 겪은 여성은 정상적으로 폐경을 겪는 여성보다 심장 이완기 기능 이상 발생률이 1.55배 높았다. 또한 주요 심혈관 사건,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위험성도 2.28배 높았다.
특히 이완기 기능 장애가 없는 여성에게서는 조기 폐경이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로 이어지지 않았지만 이완기 기능 장애가 있으면 조기 폐경이 심혈관 질환 위험을 2.2배 높였다.
이런 결과는 조기 폐경이 여성의 심혈관 건강에 끼치는 영향이 단순한 호르몬 변화를 넘어선다는 것을 시사한다.
박성미 교수는 “조기 폐경의 심혈관계 위험성에 대한 추정이나 단순 빅데이터의 분석 결과는 있었지만, 임상 진료에서 환자를 관찰해 메커니즘을 규명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며 “조기 폐경으로 인한 호르몬 변화가 심장의 이완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로 조기 폐경 여성의 심혈관 질환 관리와 예방에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조기 경이 여성의 심장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조기 경을 경험한 여성이 적극적으로 심혈관 질환 예방·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의료계 및 일반인 사이의 인식 전환을 촉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배성아 교수는 “조기 폐경과 심혈관 질환 위험성 증가 간의 연관성을 밝힌 이번 연구는 여성의 심장 건강 관리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SCI급 국제 학술지인 ‘Scientific Reports’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