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좋은 봄날이 쏜살같이 흘러갑니다. 온 나라를 뒤덮을 듯, 거리마다 벚꽃이 피어나고 이내 꽃비가 되어 흩날리던 날이 엊그제 같은데 그 자리엔 연두빛 잎새가 되어 신록이 싱그럽습니다. 정원이며 공원이며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엔 막바지 튤립이 형형색색 지면을 수놓습니다. 이제 막 피기 시작한 가지가지 철쭉들이 봄꽃 잔치의 마지막을 장식하겠지요.
튤립은 이 봄, 누구에게나 세계 어느 곳에서나 우리의 눈길을 가장 강렬하게 붙잡으며 봄을 맞이하게 하는 꽃입니다. 오늘 내가 만난 튤립은 언제 어디에서부터 출발하여 이곳에서 도착한 것일까!
세계적으로 야생의 튤립 집안 원종들은 70여종에 이르는데 주로 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폭넓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지금은 다양한 색깔과 모양을 가지기 위해 교배를 비롯한 끝임없는 육종을 통하여 수천종류의 품종이 만들어져 있지요. 야생의 튤립이 키워지기 시작한 것은 10세기 페르시아를 거쳐 오스만 투르크인들이 이를 가져다가 재배한 것으로 추정합니다. 16세기에 비로소 북유럽의 큰 관심을 모아 튤립매니아 시대를 맞이하였고 17세기 네덜란드에는 말 그대로 튤립 광풍이 불어 고가의 더 특별한 새 품종의 튤립을 투기로 사고 파느라 많은 이들이 가산을 탕진했던 유명한 이야기를 남기고 있습니다.
수 백년전 유럽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그 아름다운 튤립은 이제 전 세계의 꽃이 되었습니다. 네덜란드는 튤립의 나라가 되어 전 세계로 구근을 수출합니다. 우리가 이 꽃을 즐기기 위해서는 튤립이 일단 탄소발자국을 남기며 바다를 건넌 여행을 하게 되지요. 어려운 점은 우리나라의 여름 기온이 높아 정원에 심어둔 튤립의 구근은 대부분 다음 해 꽃을 보기 어려우니 소모품처럼 쓰여지고 수입은 반복됩니다.
어떻게 하면 탄소발자국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을까요! 꽃이 지고 난 후, 구근이 튼실해지면 캐어 보관해두었다가 가을에 심습니다. 요즈음 시도되는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는 개량되기 이전의 야생의 원종을 심는 일입니다. 우리 눈에 익숙해진 화려함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나름의 매력으로 매년 그 자리에서 피고 지고를 거듭하여 포기를 늘리며 정원의 식구가 됩니다.
물론 더욱 좋은 일은 배를 타고 여행하지 않아도 되는 우리나라의 자생식물을 발굴하고 연구하여 보급하는 일입니다. 한번 심으면 절로 피고 지고, 벌과 나비도 부르며 생물다양성을 풍성하게 하고, 씨앗을 맺어 새로운 세대로 이어지는 진정한 자연을 담는 정원을 만드는 일이지요. 튤립에 마음을 빼앗기며 조금 위안이 되는 것은, 그래도 튤립은 나사가 선정한 공기화원식물 48위에 올랐다고 합니다.
이 봄이 진짜 자연의 모습에 눈과 마음이 가는 시작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