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육청들이 대안학교 세우는 까닭은?

입력
2024.04.18 18:00
12면
학생 수 급감에 학업 중단도 늘어
각 시·도 교육청, 대안교육 주목
다문화 학생 증가로 다양성 요구
인구절벽 마을에 활기 불어넣어

학령인구 감소로 위기에 처한 교육당국이 대안학교에 주목하고 있다. 학생 수 급감으로 문을 닫는 공립학교가 속출하면서 기존 교육제도와 맞지 않아 제도권 바깥에 있거나 적응에 어려움을 겪어 학업 중단에 처한 학생들에게 눈을 돌리게 된 것이다. 다문화 학생이 늘어 교육의 다양성이 부각되고, 인공지능(AI), 챗GPT 등의 발달로 학교의 존립마저 위태롭게 되면서 각 지역 교육청마다 대안학교 설립에 적극 나서고 있다.

18일 경북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도내 첫 공립 대안학교를 추진 중이다. 오는 2029년 3월 개교를 목표로 학급당 15명에 한 학년 2학급씩 총 6학급, 학생수 9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고등학교를 설립한다. 대안학교를 통해 학업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의 학업 중단을 예방한다는 방침이다.

경북지역은 학령인구는 감소하지만 학업 중단 학생 수는 꾸준히 늘고 있다. 경북도 내 초∙중∙고교의 최근 3년간 학업 중단 학생 수는 2020년 1,228명에서 2021년 1,696명, 2022년에는 1,905명으로 해마다 200~400명씩 늘고 있다. 같은 기간 전체 학생 수가 2020년 25만8,477명에서 2021년 25만6,611명, 2022년 25만4,181명으로 매년 2,000명 안팎으로 줄고 있다.

경북지역에 사립 대안학교는 초·중·고를 합쳐 6개 학교가 운영되고 있지만 공립 대안학교는 없다. 사립 대안학교 모두 교육부 인가를 받아 졸업 후 학력 인증을 받는다. 하지만 공립처럼 중앙정부나 지방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없어 학비나 기숙사비 등 시설 이용료가 비싸다. 대안교육에 관심 있는 학부모나 학생 모두에게 벽이 높다.

경북도 교육청은 지난 2022년부터 공립 대안학교 설립에 나섰으나 지난해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에서 부지 적절성 문제 때문에 고배를 마셨다. 하지만 다시 전문기관에 설립부지 선정 연구용역을 의뢰하는 등 적극 나서고 있다. 김현직 경북도교육청 학생생활과 주무관은 “시∙도 교육청 가운데 공립 대안학교가 없는 지역은 대전과 경북뿐”이라며 “작년에는 교육부 심사를 통과하지 못했지만 올해는 조속히 준비해 하반기에는 설립부지를 선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공립 대안학교를 둔 경남도 등 다른 광역 시∙도 교육청도 확대 추세다. 대안학교가 소멸위기에 처한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고 지역주민에게도 호응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실례로 2021년 폐교한 서창선초등학교 부지에 새로 문을 연 경남 남해군보물섬고등학교는 설립 당시 탈선 학생들이 입학하는 학교라는 오해 때문에 지역주민의 반발을 샀다. 하지만 준비 과정에 마을 주민들과 꾸준히 대화해 오해를 불식시켰고, 학생들이 지역주민과 꾸준히 교류하면서 학교는 물론 지역사회 활력소로 자리 잡았다. 최재규 경남도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 장학사는 “공립 대안학교는 주로 폐교한 학교를 활용해 인구절벽에 부닥친 시골 마을에 들어서고 전 학생이 기숙사 생활을 해 자연스럽게 인구 유입이 이뤄진다"며 "체험 수업이 많은 대안교육 특성상 학생들이 마을주민과 더불어 지내야 해 지역에 좋은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다민족, 다인종, 다문화로 바뀔 한국의 미래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대안학교를 설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박용근 더불어민주당 전북도의원(전북 장수군)은 “전북지역은 지난해 국공립 유치원과 초·중·고 전체 학생 20만2,113명 가운데 다문화 학생이 8,664명으로 이미 1만 명에 육박한다”며 "인구 감소와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정부 차원에서 대안교육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지원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동= 김정혜 기자
전주= 김혜지 기자
창원= 이동렬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