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과잉 시대... "10명 중 4명, 지인에게서 무료로 받아"

입력
2024.03.27 09:00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 국민인식조사 발표


국민 10명 중 4명은 반려동물을 지인에게서 무료로 분양받아 기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반려동물을 기르는 응답자 중 15.7%는 반려동물을 집에서 번식시켜 대부분 지인에게 무료로 줬다고 답했다.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는 지난해 12월 12일부터 17일까지 전국 성인남녀 2,000명 대상으로 실시한 '2023 동물복지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반려동물을 기르게 된 경로로는 '지인에게서 무료로 분양' 응답이 46.7%로 가장 많았고 '펫숍 등 동물판매업소'(14.6%), '지인에게서 유료로 분양'(9.3%), '길에서 구조'(7.8%)가 뒤를 이었다. 특히 지인에게서 무료로 분양은 전년보다 8.5%포인트나 늘었다.

지인에게 분양받은 이들 중 68.7%는 지인이 키우던 동물의 새끼를 입양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반려동물을 기르는 응답자 중 15.7%가 최근 5년 이내 기르던 반려동물이 집에서 출산(번식)해 새끼를 낳은 경험이 있고, 이를 대부분 지인에게 무료로 줬다고 답했다.

이형주 어웨어 대표는 "태어나는 모든 동물을 책임지고 양육할 수 있는 양육자가 확보되지 않은 가운데 가정에서 반려동물이 출산과 번식을 반복하는 현상은 반려동물 개체 수 과잉, 나아가 유기동물이 증가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어웨어는 현재 우리나라가 반려동물 개체 수 과잉(pet overpopulation)이라고 진단했다. '양육을 원하는 사람의 수요보다 잉여 동물의 숫자가 더 많은 현상'으로 ①태어난 새끼들이 가정을 찾을 기회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개와 고양이가 번식하도록 허용하는 것 ②반려동물을 더 이상 키울 수 없거나 원하지 않는 소유자가 사육을 포기하는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이 대표는 "반려동물 1,500만 시대라고 하지만 국내에는 매년 10만 마리 이상의 유실∙유기 동물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5년 이내 기르던 반려동물을 누군가에게 양도하거나 양육을 포기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12.5%였다. 포기한 이유는 '예상보다 외출, 출장, 여행 등 생활에 제약이 많아서'(28.8%), '예상보다 비용이 많이 들어서'(25.6%), '예상보다 돌보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서'(22.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농어촌과 실외에서 길러지는 개들의 반려동물 등록률과 중성화 수술 비율은 낮았다. 농어촌 지역에서 반려견 동물등록을 한 비율은 58.5%로 도시보다 14.9%포인트 낮았다. 또 실외에서 기르는 개의 중성화 수술 비율은 43.2%로 실내에서 사육하는 경우(68.9%)보다 낮았고, 반려동물 출산∙번식 경험 역시 많았다. 최근 5년간 실외에 개를 묶어 기르는 사람들이 동물 유실을 경험한 비율은 27.3%였다.

펫숍과 같이 반려동물을 상업적으로 번식, 판매하는 행위를 제한하는 데 동의한다는 응답 비율은 89.3%였다. 이는 전년보다 12.6%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또 반려동물 등록을 갱신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응답은 93.3%, 반려동물에 대해 매년 일정한 등록비를 지불하도록 하거나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 반려동물 양육자의 책임 강화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응답은 71.1%에 달했다.

시민 대다수는 동물보호법 강화에 동의하고 있었다. 응답자의 89.9%는 반려동물 양육자의 사전교육제 도입에 찬성했다. 또 95%는 동물학대 재발을 막기 위해 동물 학대자의 피학대 동물 소유권을 박탈해야 한다고 답했고, 96.1%는 동물 학대로 처벌받은 사람에 대해 일정 기간 모든 동물의 사육을 제한하는 제도에 동의했다.

동물원, 동물 보호소 등 공익적 기능해야


한편 동물원에 대한 국민의 눈높이도 달라졌다. 동물원이 앞으로 변화해야 하는 방향성에 대한 응답은 '야생에서 살 수 없는 동물 보호소 역할'이 53.2%(1, 2순위 합산 기준)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황주선 어웨어 연구이사는 "이제 동물원이 전시, 관람보다 생물다양성 보전, 야생동물 보호 등 공익적 기능을 해야 한다고 인식이 변화하고 있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또 개인이 가정에서 애완・관상 등의 목적으로 야생동물을 사육하는 것에 동의한다는 응답 비율은 29%로 매우 낮았다. 반면 개인이 애완용으로 수입・생산・판매하거나 구매・소유할 수 있는 야생동물 종을 지정하는 제도인 '백색목록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응답 비율은 88.3%로 나타났다.

이 대표는 "동물복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매년 성장하고 있음에도 현행 제도는 변화하는 시민들의 인식 수준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며 "시민들의 요구가 동물복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에 조사 결과를 제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고은경 동물복지 전문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