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5선’을 확정 지었다. 푸틴 대통령은 90%에 육박하는 몰표를 받으며 대통령 임기를 6년 연장했는데, 2030년까지 집권하면 이오시프 스탈린 구소련 공산당 서기장의 29년 통치 기록을 넘어서게 된다. 3연임 조항까지 없애 84세가 되는 2036년까지 대통령직을 유지하는 데 걸림돌도 제거한 상황이다.
러시아가 경제제재 등 극심한 고립을 겪는 상황에서 뚜렷한 경쟁자 없이 치러진 이번 대선에 대해 국제사회 평가는 싸늘하다. 미국 백악관이 “자유롭지도 공정하지도 않다”는 입장을 내놓자, 푸틴 대통령은 “그들이 일어나 박수하길 바랐나, 그들은 무력으로 우리와 싸우고 있다”고 답했다. 또 “러시아와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간 전면 충돌이 벌어질까”라는 질문에는 “무엇이든 가능하다”면서 피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미국과 서방세계가 펼치는 압박에 대응하기 위해 비슷한 처지인 중국 북한 이란 등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팔레스타인 전쟁이 한창인 중동의 아라비아해 오만만에서 지난 11일부터 러시아는 중국 이란과 함께 연합 군사훈련을 했다.
특히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 장기화로 무기가 부족해지자, 북한에서 미사일과 포탄을 수입하고 그 대가로 북한에 미사일 관련 기술을 제공하면서 양국은 군사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푸틴 대통령은 지난 13일 “북한은 자체 핵우산을 갖췄다”며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하려는 움직임마저 보였다. 올봄 평양을 방문할 예정인 그가 어떤 발언을 할지 벌써부터 우려가 커지는 이유다. 어떤 경우든 푸틴 대통령은 공언한 대로 한반도 상황과 관련, 어떤 합의도 위반해선 안 된다.
러시아와 북한 중국의 밀착과 한·미·일 3국 안보협력이 가속하면서, 한·러 관계 냉각과 함께 한반도 긴장도 높아지는 상황이다. 양국 관계가 우크라이나 전쟁 이전으로 회복되기는 어렵겠지만, 이럴 때일수록 대러 외교 채널을 유지하는 노력을 멈춰서는 안 된다. 중국과 마찬가지로 러시아 협조 없이는 한반도 평화를 장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