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인터뷰하는 1시간 동안 아프리카에선 60명의 아이들이 말라리아로 죽습니다. 단돈 2달러(약 2,700원)짜리 모기장 몇십 개만 있어도 보호할 수 있는 생명들인데 말이죠. 한국이 이런 비극에 공감한다면 훌륭한 후원국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11일 서울 중구 주한영국대사관에서 만난 그레엄 넬슨(43) 한국 말라리아 예방공동체(AMF 코리아) 이사는 유창한 한국어로 기부 동참을 호소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영국에 본부를 둔 AMF는 지난 7일 서울시에 비영리민간단체로 등록하고 자선사업을 시작했다. AMF 코리아의 기틀을 다진 넬슨 이사는 "한국은 과거 가난을 극복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아프리카의 아픔에 공감하고 도움의 손길을 내밀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AMF는 지난 15년간 말라리아 퇴치를 위해 기부금의 99%를 살충제 처리가 된 모기장을 구입·배포하는 데 사용해왔다. 배포 지역은 주로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이남, 파푸아뉴기니다. 여기선 매년 약 62만 명이 말라리아로 죽는데, 사망자의 70% 이상이 5세 이하 아동이다. 가까스로 살아남는 환자도 매년 2억 명 이상이나 된다. 넬슨 이사는 "말라리아에 걸린 사람들은 일상생활을 전혀 못한다. 가족들도 간병을 위해 집을 팔거나 직장을 그만두면서 악순환이 이어진다"고 전했다.
말라리아 예방 백신이 있기는 하지만, 감염 예방 효과가 36~65% 수준에 그친다. 접종 대상도 6~18개월 영·유아로 제한된다. 즉 비용 대비 효과를 따져 보면 모기장이 압도적이다. AMF가 백신 대신 모기장 배포에 힘을 쏟는 이유다. 한정된 예산으로 최대한 많은 생명을 지키기 위해 AMF는 광고나 운영비를 최소화한다. AMF 정직원은 단 10명이고, 사비로 활동하는 자원봉사자들의 도움을 받는다. 넬슨 이사도 일과 시간엔 주한영국대사관의 정치참사관으로 일하고, AMF 활동은 퇴근 후 짬을 내서 한다.
주민들이 말라리아 감염을 피하면 농사나 교육 등 일상을 유지할 수 있어 지역경제에도 도움이 된다. AMF는 지난해 1~9월 모기장 8,500만 개를 구입할 수 있는 기금을 모았는데, 이는 말라리아 감염 4,000만 건을 예방하면서 약 22억 달러 규모의 지역경제 개선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추산됐다.
AMF 코리아가 생기기 전에도 국제 결제로 AMF에 기부를 해온 한국인들이 있다. 작년 한 해 동안 한국인이 기부한 모기장이 6,549개였다. 일본(5,005개)과 중국(649개)보다 많지만, 서양 국가들과 비교하면 매우 적다는 게 AMF 코리아 측 설명이다. 넬슨 이사는 "한국 사람들은 기부를 많이 하려 해도 기부금이 어떻게 쓰이는지 걱정이나 회의감이 짙은 것 같다"며 "한국은 교육 수준이 높고 과학적으로 사고하는 인구 비율이 높은 만큼, 기부금 사용의 효율성을 강조하면 참여를 더욱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AMF는 모기장 배포 내역과 후원금 계좌를 홈페이지에 실시간으로 공개한다.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했다는 넬슨 이사는 "과학적 사고를 하는 사람들은 돈을 투자할 때 가치를 따져 본다. (기부도 마찬가지로) 후원자들의 소중한 기부금을 가치 있게 사용하고 최대한의 성과를 내는 것이 그들을 존중하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AMF 코리아는 올해 한국 학생들과 함께하는 자선 운동회도 계획 중이다. AMF는 본래 자선 수영 캠페인으로 유명한데, 한국에서는 마라톤 등으로 활동 범위를 넓혀 참여를 촉진한다는 구상이다. "학생들이 말라리아로 고통받는 다른 나라 아이들을 위해 뭔가 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 의미가 있다"고 넬슨 이사는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