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이 수업을 거부하거나 방해하는 정서·행동 위기학생이 원활히 교육받게 하는 지원체계를 올해부터 특수학교에서 일반 학교로 확대 적용한다. 문제행동이 학교폭력이나 교권침해로 번지기 전에 담임교사가 주도적으로 지도하도록 지원하고, 그래도 해결이 어려우면 박사급 전문가가 개입한다.
14일 시교육청은 이 같은 '긍정적행동지원(PBS·Positive Behavior Support) 체계'를 일반 학교라도 희망하면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 내용의 '교실 속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PBS는 학생이 문제행동을 하면 원인을 분석하고 행동중재 계획을 세워 실행하는 일련의 대응 체계를 뜻한다. 가령 어떤 학생이 친구가 싫어하는 별명을 부르며 수업을 방해하는 행동을 반복한다면, 교사가 PBS에 따라 행동 원인(친구들의 관심을 얻고 싶어 함)을 진단하고 중재 계획(고운말 쓰기 약속을 지키면 친구들과 나눠 먹을 간식 제공)을 세워 실행하는 식이다. PBS는 미국 학교에서 널리 쓰이고, 서울에선 11년 전부터 특수학교에서 활용해왔다.
교사들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처럼 정서적 문제를 겪는 학생이 늘고 있는데도 지도할 수단이 마땅치 않다고 호소해왔다. 지난해 7월 서울 서이초 교사 사망 사건 이후 교권강화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문제 학생을 교실에서 분리하거나 물리적으로 제지할 법적 근거가 마련됐지만, 이런 방식은 현실적으로 '최후의 수단'에 가깝고 분리 주체나 장소를 둘러싼 논란도 이어지고 있다. 시교육청과 PBS 확대를 논의해온 한성준 좋은교사운동 공동대표는 이날 시교육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정서·행동 위기학생을 어떻게 지도하고 어떤 지원체계를 갖출지보다는, 누가 어디로 분리할 거냐에 대한 논의만 이뤄지면서 학교 현장의 갈등만 커졌다"고 했다.
시교육청은 PBS 체계를 모든 학교에 일괄 적용하는 대신, 활용을 원하는 교사가 있다면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PBS 실행 절차를 담은 '교실 속 문제행동 지도 가이드북'을 제작해 보급하고, 희망 교사에게 4시간 이상의 직무연수를 제공한다.
교사가 PBS 실전 적용에 나설 경우, 특수교육학 박사학위 소지자인 행동중재전문관이 한 학기 동안 일대일 컨설팅을 제공하고 필요하면 직접 위기학생을 관찰해 문제행동 분석, 중재전략 수립 등을 돕는다. 이 과정에서 현직 교사인 행동중재전문교사와 퇴직 교사인 긍정적행동지원가가 학생과 지도교사를 지원한다. 시교육청은 원활한 지원을 위해 교육청 소속인 행동중재전문가를 종전 2명에서 4명으로 늘렸고, 올해 퇴직교원 60명을 긍정적행동지원가로 양성해 일선 학교에 배치할 계획이다.
PBS 실시에도 문제행동을 반복하는 고위기 학생의 경우 외부 전문가가 개입한다. 임상심리 전문가 등 박사급 인력이 학교를 방문해 상담을 실시하고 필요시 병원에 연계하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