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불거진 '음대 입시비리'를 연일 비판하고 있는 시민단체들이 이번엔 실기 심사위원으로 참여하는 교수들의 담합 의혹을 제기했다.
반민심 사교육 카르텔 척결 특별조사 시민위원회(반민특위)와 한국대학교수협의회(한교협), 미래교육자유포럼 등 100여 개 시민단체는 30일 서울 종로구 감사원 앞에서 연 기자회견을 통해 예·체능 입시비리 담합사례 유형을 공개하며 사교육 카르텔 타파를 촉구했다. 단체들은 입시비리에 연루된 주요 대학 교수들과 고위공무원 등 20여 명을 조사해 달라고 감사원에 국민감사청구 민원을 접수했다.
양정호 반민특위 상임위원장은 기자회견에서 서울대 음대 성악과 및 경희대 피아노과 입시비리 의심 사례를 공개했다. 양 위원장은 서울대의 경우 교수 5명과 브로커 역할을 한 예고 출강 강사 1명이 입건됐고, 경희대는 음대 교수와 현직 예고 교사들 사이에 형성된 유착관계로 이들과 관련된 수험생이 합격하는 시스템이라고 설명했다.
단체는 "비리를 저지르는 일부 교수끼리 각 대학 심사위원으로 뭉쳐 다니면서 특정학생을 선발해준 것"이라고 주장했다. 양 위원장은 "우선 서울 5개 주요 음대 교수들을 전수조사하고, 나머지 교수들도 전반적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심사 과정에서 교수들의 담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3가지 사례도 소개했다. 채점표 등 입시 서류를 비교·검토하면 쉽게 비리 가담 파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합격시키기 위해 높은 점수를 주거나 △떨어뜨리려 확연히 낮은 점수를 주는 경우 △일관성 없는 심사 등이다.
양 교수는 "심사에선 최고점과 최하점을 제외하기 때문에 5명의 심사위원 중에서 3명이 일률적으로 95점 이상을 주면 해당 학생을 뽑으려는 것이고, 80점대 밑으로 주면 떨어뜨리고자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