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띄운 'CF연합'…국제사회가 "원전=청정에너지" 인정해줄까

입력
2024.01.30 08:00
17면
올해 중 인증제도 수립·국제공조 강화 추진
국내 기업 참여 저조, 국제사회 공감대 아직
한국 넘어 '글로벌 이니셔티브'까지 첩첩산중


정부가 무탄소에너지(CFE) 이니셔티브를 본격 추진하기 위해 늦어도 6월까지 제도 설계를 시작한다. 다만 우리나라가 이끄는 '무탄소(CF)연합'이 국제 에너지 캠페인 'RE 100 이니셔티브'(2050년까지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쓰자는 민간 운동)처럼 국제적 지지를 확보하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간담회를 열고 양·다자 교류 20회, 영국·프랑스·네덜란드·사우디·UAE 등 주요국들의 CFE 지지 표명 등 3개월 동안의 성과를 발표했다. 이회성 CF연합 회장은 "지난해 12월 열린 제28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8)에서 역대 최초로 원자력과 수소, CCUS가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명시됐다"며 "재생에너지만으로는 탄소중립 달성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만큼 모든 무탄소에너지를 동원해야 한다는 국제사회의 커다란 패러다임 변화가 확인된 셈"이라고 설명했다.

CF연합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재생에너지뿐만 아니라 원자력발전, 수소, 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등 무탄소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자는 뜻의 CFE 이니셔티브를 국제사회에 제안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출범했다. 재생에너지 생산 여건이 유럽 등 선진국보다 불리한 국내 상황을 감안해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사단법인 형태를 택했다.

CF연합은 이날 올해 목표로 ①CFE의 국제표준 및 인증제도 설계 ②CFE 글로벌 확산을 위한 국제공조 강화 ③신개발도상국과 협력방안 도출 등을 내놨다. 강경성 산업부 1차관은 "CFE 이니셔티브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서는 무탄소에너지 인증 제도를 빠르게 구축하고 이를 국제사회에 확산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부와 CF연합은 올해 해외 주요국이 참여하는 작업반을 구성해 국제사회와 함께 인증 체계를 만드는 등 국제 활동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목적은 탄소 중립과 무역장벽 해소…글로벌 기업 참여가 관건


이미 국제사회에서 RE100 캠페인이나 구글과 UN에너지가 주도하는 '24/7 CFE(Carbon Free Energy Action·상시무탄소 에너지 협약)' 등 글로벌 에너지 캠페인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막 첫발을 뗀 CFE 이니셔티브가 얼마나 많은 지지를 얻을지는 미지수다. 정부와 CF연합은 "기업들의 무탄소에너지 사용에 대한 선택의 폭을 넓혀 탄소중립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고 보지만 아직 기업들의 참여는 저조하다. 국내에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차, 포스코, LG화학, 한국전력 등 국내 20개 기업·기관이 참여하고 있지만 해외 기업 및 기관의 참여는 없다. 반면 2014년 시작한 RE100에는 구글·마이크로소프트·애플 등 426개 글로벌 기업들이, 24/7 CFE 캠페인에도 구글·마이크로소프트 등 145개 기업이 동참하고 있다.

CFE 이니셔티브가 인정하는 '무탄소 에너지원'에 대한 글로벌 시각이 엇갈린다는 점도 넘어야 할 산이다. 원전을 청정에너지로 인정할 것인지 여부, 화력발전소 등에서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땅이나 바다 속에 저장하는 CCUS 기술이 화석연료 퇴출이라는 목적에 맞지 않는다는 비판 등 에너지원별 국제적으로 합의된 의견이 나오지 않았다. 국내 기후단체 관계자는 "CF연합이 말하는 무탄소에너지 일부는 무탄소가 아닌 '저탄소에너지'라고 불리는 등 글로벌 사회 정의와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고 지적했다.

결국 CFE 이니셔티브는 탄소 중립이 새로운 무역 장벽이 된 글로벌 기조와 맞물려 있는 만큼 제도 설계에 앞서 국제사회와 공감대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국내에서 무탄소에너지 제도를 만들어도 구글이나 애플이 인정해주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며 "국제사회에서 통용되는 글로벌 스탠더드를 만드는 게 관건"이라고 말했다.


세종= 나주예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