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경기도 31개 시군에서 운행 중인 시내버스에 서울시 버스준공영제와 같은 ‘시내버스 공공관리제’가 도입된다.
경기도는 다음 달 1일부터 시내버스 1,200대를 시작으로 2027년까지 도내 전체 시내버스 6,200여 대를 대상으로 공공관리제를 시행할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우선 다음 달 1일 경기도가 관리하는 시군 간 운행하는 45개 노선, 545대가 공공관리제로 전환된다.
경기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는 버스운영 수익을 도가 거둔 뒤 일정 기준에 따라 업체에 분배해 시내버스에 대한 공적관리를 강화하는 제도다. 서울시 버스준공영제의 경우 업체가 평가를 받지 않고 무기한 지원을 받지만, 경기도는 정시 출발 및 도착 여부, 기사 친절도, 차량 청결상태 등 3년마다 업체를 종합평가한다. 여기서 탈락할 경우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에서 제외돼 오직 자체 수익만으로 버스를 운행해야 한다. 서울은 수익을 기본이윤(무조건 지급) 50%, 성과이윤(차등 지급) 50%로 나눠 분배하지만 경기도는 기본이윤 없이 100% 성과이윤 방식으로 분배한다. A등급은 100%, B등급 75%, C등급 50%, D등급 25%, E등급 0%다.
버스회사조합이 수익을 관리하는 서울시와 달리 경기도는 도가 직접 수익을 관리하고 노선권을 가져 노선도 도가 변경할 수 있다. 운전기사의 근무형태도 현재 격일제에서 서울과 같이 1일 2교대로 전환돼 노동강도도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공관리제 도입에 따른 예산으로 내년 2,000억 원, 도입이 완료되는 2027년에 1조1,359억 원이 투입될 것으로 도는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