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 심화로 경제를 이끄는 15~64세 생산연령인구가 50년 후 반 토막 나는 것으로 예상됐다. 갈수록 줄어드는 생산연령인구는 저성장 위기가 다가오는 우리 경제를 더욱 쪼그라뜨릴 전망이다. 또 노년 인구 급증으로 이들에게 투입하는 복지 등 사회적 비용도 치솟을 수밖에 없다.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2022~2072년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총인구는 지난해 5,167만 명에서 2072년 3,622만 명으로 줄어든다. 총인구는 이미 2020년 5,184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내리막길로 돌아섰다.
인구 감소는 저출산에 아이를 덜 낳고, 고령화로 사망자는 늘고 있기 때문이다. 사망자에서 출생아를 뺀 인구 자연 감소는 2022년 11만 명에서 2072년 53만 명으로 증가한다. 지난해 기준 0.78명으로 전 세계 꼴찌인 합계출산율이 2025년 0.65명까지 떨어졌다가 이후 회복한다는 가정에 기초해서다. 출산율이 앞으로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경우 2072년 총인구는 3,413만 명으로 더 내려간다.
전체 인구 중 생산연령인구가 가파르게 줄어든다는 관측은 뼈아프다. 지난해 생산연령인구는 3,674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71.1%다. 가운데가 볼록한 항아리형으로 경제를 유지하기에 적절한 인구구조다. 하지만 생산연령인구는 2030년 3,417만 명을 거쳐 2072년 1,658만 명까지 하락할 전망이다. 지난해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규모다. 생산연령인구 내에서도 주된 연령층은 25~49세에서 50~64세로 이동한다.
예비 생산연령인구인 0~14세 유소년 인구 예측은 더 암울하다. 2072년 유소년 인구는 238만 명으로 지난해 595만 명의 40%에 불과하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지난해 898만 명에서 2025년 1,000만 명을 돌파하고 2072년 1,727만 명에 이른다. 고령인구가 50년 후엔 생산연령인구를 앞지르는 상황이다.
주변에서 흔한 사람이 노인인 '늙은 대한민국'에 가까워질수록, 경제 쇠락은 불가피하다. 부를 창출할 수 있는 토대인 노동력 자체가 부족해지기 때문이다. 이종화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올해 2월 내놓은 '인구가 감소하는 성장 모형과 한국 경제에의 적용' 논문에서 "2050, 2060년대에 연평균 성장률은 0.9%"라고 추정했다.
지금 인구 추세대로라면 저성장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는 1%대 성장률마저 붕괴하는 건 시간문제인 셈이다. 인구 감소를 딛고 경제를 유지하기 위해 자본 투자, 기술 혁신, 노동의 질 향상 등이 필요한 이유다.
인구 충격은 복지 시스템을 뒤흔들 가능성도 크다.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할 유소년·고령인구를 뜻하는 총부양비는 지난해 40.6명에서 2072년 118.5명으로 치솟는다. 50년 뒤의 생산연령인구가 부담하는 세금, 국민연금 등이 뛸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이런 부양비 상승 속도는 국제적으로도 유례없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한국의 부양비는 현재 가장 낮으나 2072년엔 1등에 오른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생산연령인구 감소는 그 자체로 성장률을 떨어뜨리는 데다 이를 만회할 수 있는 생산성 향상 역시 청년층 인구가 줄면서 낙관하기 어렵다"며 "소수의 생산연령인구가 복지 비용 증가에 따른 세금·나랏빚 부담도 지어야 해 인구 문제는 큰 위험 요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