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계박람회(엑스포)를 개최하려던 부산의 염원은 끝내 좌절됐다. 막대한 오일 머니를 앞세운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경쟁에서 초반 현격한 열세를 딛고 끈질긴 추격을 펼치는 저력을 보였지만, 판세를 뒤집진 못했다. 이로써 민관 합동팀은 509일 간 지구 495바퀴 거리를 돌며 펼친 험난한 유치활동을 큰 아쉬움 속에 마무리했다.
28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팔레드콩그레에서 열린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 2030 엑스포 개최지 투표 결과, 부산은 29표를 얻어 경쟁 도시 사우디 리야드(119표)에 크게 뒤졌다. BIE 회원국은 총 182개국이지만 불과 165개국만 투표에 참여하면서 1차 투표의 3분의 2 득표를 리야드가 훌쩍 넘겼다.
부산의 전략은 1차 투표에서 이탈리아 로마를 제친 뒤 리야드와 최종 승부를 펼치는 시나리오였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현격한 표차로 1차 투표에서 승부가 갈렸다. 엑스포 개최지 투표는 각국 대표가 1표씩 던지는 비밀 전자투표 방식으로 진행된다. 1차 투표에서 3분의 2 이상 득표자가 나오지 않으면 1, 2위 간 결선 투표를 치른다. 3개국 이상 경쟁에서 1차 투표 만으로 최종 승자가 가려진 건 이례적이다.
투표에 앞서 한국, 이탈리아, 사우디 순으로 표심에 호소하는 최종 프레젠테이션(PT)이 진행됐다. 한국은 박형준 부산시장이 첫 연사로 나서 부산의 장점들을 소개하며 지지를 호소했다. 이어 나승연 홍보대사가 '자연과 조화로운 지속가능한 삶', '인류를 위한 기술', '배려와 공유를 위한 플랫폼' 등 부산엑스포의 주요 주제를 설명했다. 부산엑스포 유치위 민간위원장인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은 인류가 당면한 문제 해결을 위해 우리 측이 유치 과정에서 마련한 웨이브(thewave.net)라는 플랫폼을 소개했고, 한덕수 총리는 한국이 세계 각국을 상대로 약속한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마지막 연사로 나선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더 나은 미래를 위한 한국과 부산엑스포의 역할을 부각시켰다.
민관 합동팀은 투표 직전까지 회원국 설득에 혼신을 다했다. 한 총리는 전날 BIE 회원국 대표 접견 및 오찬, 2027 베오그라드 인정박람회 개최 축하 리셉션 참석 등 일정을 소화하며 지지를 호소했고,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오영주 외교부 2차관도 최종 교섭을 벌였다. 엑스포 유치를 위해 23일부터 파리에 머물고 있는 주요 기업 인사들도 부산엑스포를 통해 확대될 한국과의 비즈니스 기회를 강조하며 한 표라도 더 얻기 위해 심혈을 기울였다. 부산시 범시민유치위원회는 현지 관광객 등을 대상으로 한국 문화를 홍보했다.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 고위급 인사들도 막판까지 각국을 상대로 유치전을 펼치며 국내에서 지원사격에 나섰다.
정부는 승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의 끈을 놓지 않았다. 막판 대역전극을 꿈꾸며 결과를 기다렸다. 한 총리는 전날 취재진에게 "민간과 정부가 같이 안 했다면 182개국을 접촉도 못 했을 것"이라며 모든 관계자들의 노력에 감사의 뜻을 전했다. 사우디의 경우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추진하는 '사우디 비전 2030'의 핵심 축으로 엑스포 유치에 사활을 걸었다.
민관은 지난해 7월 부산엑스포 유치위를 꾸린 이후 총 1,989만1,579㎞를 이동하고 각국 정상을 포함해 3,472명을 만나며 광폭 유치전에 모든 것을 쏟아부었다. 정부는 대형 국제행사 유치교섭 과정에서 얻은 외교적 네트워크와 경험을 앞으로도 지속 발전시킬 방침이다.
한 총리는 투표 결과 공개 후 취재진에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인다"며 "(유치교섭 과정에서 얻은) 새로운 자산 이런 것들은 발전시켜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 여러분의 성원에 충분히 응답하지 못해 죄송하다.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고 머리를 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