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관절 부위 염증을 관절염이라고 한다. 흔히 관절염이라고 하면 대부분 무릎에 나타난다고 여기기 쉽다.
하지만 우리 인체에는 360여 개의 관절이 있고 무릎뿐만 아니라 관절을 구성하는 뼈와 연골 손상 및 퇴행성 변화로 통증이나 변형, 기능장애가 나타나는 관절염은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
무릎보다 관절염이 생기는 빈도는 낮지만 고관절(엉덩이관절)도 퇴행성부터 류마티스성, 감염성, 신경병성, 통풍성 등 모든 종류의 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다.
고관절은 엉덩이 부위 관절로 골반과 넓적다리의 뼈를 연결하는 관절이다. 어깨에 비해 운동 범위가 좁지만 허벅지와 종아리를 포함한 다리 운동에 관여하는 중요한 관절 부위로 걷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비만 증가로 고관절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잘못된 자세나 좌식 문화는 고관절을 비롯해 주변 조직에 손상을 줘 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대동병원 관절센터 서진혁 과장(정형외과 전문의)은 “고관절에도 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인식이 적다 보니 엉덩이 통증을 허리디스크로 생각해 외래를 찾는 환자들이 종종 있다”라며 “둘 다 엉덩이 통증이 나타날 수 있지만 엄연히 다른 질환이므로 정확한 통증 부위와 원인 등을 정형외과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 치료에 들어가야 한다”고 했다.
서 과장은 “몸을 지탱하고 보행 역할을 하는 고관절이 손상되면 삶의 질을 큰 영향을 주는 만큼 증상이 나타나면 빨리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고관절 관절염이 발생하면 일어날 때 엉덩이나 사타구니, 대퇴부 등에서 뻑뻑하고 불편한 느낌이 나타나며 움직일 때 통증이 나타나다가 휴식을 가지면 호전되는 양상을 보인다.
방치하면 고관절 염증이 악화돼 휴식을 취해도 통증이 나아지지 않는다. 상태가 악화돼 연골이 완전히 닳으면 뼈와 뼈가 직접 닿아 통증이 심해지고 고관절의 회전·굴곡 등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통증이 나타난다고 움직이지 않으면 관절 움직임을 담당하는 근육이 약해져 걸을 때 다리를 절 수 있다.
관절염 진단을 위해서는 증상과 발현 시기, 관절 운동 범위 등을 확인하며 관절 변화 등을 확인하기 위해 X선 촬영, 자기공명영상(MRI) 검사 등을 시행한다.
관절염 초기라면 과도한 고관절 사용을 금하며 휴식을 취해야 하며 소염진통제 등 약물이나 온열 요법, 물리 치료 등을 시행한다.
비만이라면 체중을 감량하며 의료진 판단 하에 관절 기능을 유지하고 운동 범위나 근력을 증강시킬 수 있는 수영이나 실내 자전거 등과 같은 운동을 시행한다.
보존적 치료에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비교적 초기에는 연골과 뼈 조직의 손상된 부분을 제거하고 고정하는 수술을 시행하면 호전될 수 있다.
손상 정도가 심하면 인공관절 수술로 정상 기능을 되찾을 수 있다. 최근 고령이라도 인공관절 수술을 시행하여 보행 장애를 개선해 만족도를 높이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고관절을 포함해 관절염을 예방하려면 비만이 되지 않도록 체중을 조절하도록 하며 적절한 운동으로 관절 범위를 유지하고 근력을 강화해야 한다.
무리한 동작을 반복하거나 올바르지 못한 자세 등은 퇴행성 변화를 유발하므로 삼가며 음식을 짜게 먹거나 카페인 섭취량이 많으면 칼슘이 손실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며 골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칼슘·비타민 D·비타민 K 등의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