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르는 연예인 마약… ‘영구 퇴출’ 등 강력 조치 뒤따라야

입력
2023.10.27 04:30
27면

돈 스파이크(김민수)와 유아인 이선균에 이어 지드래곤(권지용) 등 유명 연예인 연루 마약 사건이 잇따르고 있다.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한 정부의 의지를 무색하게 만들고 있지만, 연예인들의 자정 노력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연예인들이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하면 영구 퇴출 등 정부 차원의 강력한 제재 조치가 마련돼야 한다.

정상급 연예인들의 마약 사건 소식이 이어지고 있는데, 과거처럼 단발성으로 끝날 분위기가 아니다. 기존에 알려진 이들 외에 추가로 연루된 연예인들 이름까지 돌고 있어 어디까지 퍼져 있는지 가늠하기도 힘든 수준이다. 공인인 연예인들의 마약 사건은 특히 저연령화되고 있는 마약사범 추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더한다. 대검찰청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단속된 마약사범은 1만8,187명으로 이미 지난해 전체 단속 인원(1만8,395명)에 육박했다. 이 중 10대 청소년 마약사범도 875명으로 지난해(481명)보다 두 배가량 증가했다.

상황이 이렇지만 정부나 미디어업계의 각별한 움직임이나 연예계의 자성 목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돈과 인기에 희비가 엇갈리는 연예인들의 특성상 마약의 유혹에 빠지기 쉽지만 두 번이나 구속영장이 기각된 유아인 사례처럼 재력으로 버티고, 복귀도 너무 쉽게 이뤄진다. 주지훈과 신동엽 등 마약 전력이 있는 연예인들이 별다른 제재 없이 복귀해 활동하고 있는 상황 자체가 마약사범에 둔감한 우리의 현실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독버섯처럼 번지는 마약 근절을 위해서는 마약 연예인들부터라도 공인으로서 지위에 걸맞은 강력한 공적 제재 조치가 적용돼야 한다. 자성과 자제가 최선이나, 그렇지 못할 경우 공인으로서 상응하는 책임도 물어야 하기 때문이다. 강력한 조치는 마약의 굴레가 연예인 생활에 마침표를 찍을 수 있다는 경각심을 불러올 수 있는 수준이어야 한다. 이에 대한 대책이 조속히 마련되지 않는다면, 마약과의 전쟁에서 이길 수 없다는 사실을 정부는 명심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