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직 7급 공무원 채용시험 경쟁률이 지난해보다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직 공무원 경쟁률은 직급 고하를 막론하고 하락하는데 반해, 지방직은 9급에 이어 7급에서도 오른 것이다.
행정안전부는 25일 올해 355명을 선발하는 지방직 7급 공개경쟁임용시험에 2만5,626명이 지원해 72.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정부가 전국 17개 시·도의 요청을 받아 일괄 채용시험을 치르기 시작한 2019년 이래 최고 경쟁률이다. 2018년까지는 서울시가 별도 시험을 실시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올해는 작년(64.3대1)보다 경쟁률이 월등히 높다”며 “공무원 수 동결, 재배치 방침에 따라 선발 인원이 지난해 대비 3분의 1가량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상반기 있었던 지방직 9급 채용 때도 경쟁률이 상승하자 원인으로 ‘선발인원 감소’를 꼽은 바 있다.
그러나 지방직과 달리 올해 30년만의 최저 경쟁률을 기록한 국가직 9급을 포함해 5·7급 국가직 경쟁률까지 하락한 상황을 감안하면, ‘선발인원 감소’만으로는 지방직 공무원 시험 경쟁률 상승이 설명되지 않는다.
눈에 띄는 것은 선발 규모 변화가 지원자 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국가직과 지방직에서 달리 나타나는 대목이다. 국가직은 선발 인원이 줄면 그보다 더 큰 비율로 지원자가 감소해 경쟁률이 떨어졌지만, 지방직은 선발인원이 줄어도 지원자 수는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실제 앞서 있었던 국가직 7급 선발 시험의 경우 올해 선발인원(720명)이 작년(785명)보다 8%(65명) 감소에 그쳤지만, 지원자 수는 같은 기간 3만3,527명에서 2만9,086명으로 16%(4,441명) 감소했다. 그러나 이번 지방직 7급의 경우 선발인원이 지난해 533명에서 올해 355명으로 33.4%(178명)나 줄었지만 지원자는 3만4,267명에서 2만5,626명으로 25%(8,591명) 감소에 그쳤다.
이번에 선발하는 지방직 7급 공무원을 시ˑ도별로 보면 서울이 184명으로 가장 많다. 경쟁률은 경기가 216.1대 1(선발 11명, 접수 2,377명)로 가장 높았고 울산이 3.5대 1(선발 2명, 접수 7명)로 가장 낮았다. 성별로는 남성이 42.7%(1만955명), 여성이 57.3%(1만4,671명)로 여성 비율이 지난해(57.8%)보다 약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29세가 47.2%(1만2,102명)로 가장 많고 30세~39세가 40.3%(1만316명)로 뒤를 이었다.
필기시험은 28일 17개 시·도에 마련된 84개 시험장에서 동시 실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