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이 다음 달 9일 총파업을 예고했다. 경영 개선을 위해 정원 조정은 불가피하다는 사측과, ‘강제 구조조정을 하지 않는다’는 합의를 깨고 있다는 노조 측이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작년에 이은 2년 연속 파업이 현실화하고 있다.
교통공사 양대노총 연합교섭단은 18일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가 공익서비스 정책 책임을 외면하고 대규모 인력 감축으로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협상 미타결 시 11월 9일 총파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19일에는 덕수궁 앞에서 노조원 2,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오세훈 시장 면담을 요구하는 결의대회도 열기로 했다. 다만 ‘MZ세대’가 주축으로 알려진 제3노조인 ‘올바른노조’는 파업에 동참하지 않는다.
노사는 7월 1차 본교섭 이후 총 10차례 교섭을 진행했지만 성과는 없었다. 전날 서울지방노동위원회 조정 역시 무산됐다. 노조는 지난 12~16일 파업 찬반 투표를 진행한 결과 73.4%의 찬성률로 가결됐다.
사측은 누적 적자가 17조 원을 넘어 경영 정상화를 위해 인력 감축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2026년까지 총 정원(1만6,367명)의 13.5%(2,212명)를 줄이고, 일부 업무를 자회사나 외부에 위탁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내년 신규 채용도 보류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사 관계자는 “비안전업무 인력 중심으로 중복 업무 등을 찾아 정원을 조정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무조건적 채용보다 직무 재설계를 통한 현장 인력 보충이 국민 정서에도 부합하고, 장기적으로도 미래를 내다볼 수 있는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노조는 사측이 2021년과 2022년 강제 구조조정이 없도록 한다는 합의를 무시하고 있어 파업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한다. 감축 규모가 지난해 1,539명보다 크다는 점도 노조가 강하게 반발하는 이유다. 명순필 공사 노조위원장은 “전국 지하철 중 코로나 재정위기를 이유로 인력을 줄이겠다는 곳은 서울뿐”이라며 “안전 인력 확충 없이 요금인상 부담과 서비스 질 저하를 시민에게 떠넘기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총파업까지 3주 정도 남아있는 만큼 양측은 협상의 문은 열어 놓을 방침이다. 노사는 앞서 파업에 대비해 ‘필수유지 업무협정’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파업 기간 평일 운행률은 53.5~79.8%로 유지된다. 공휴일은 모두 50%다. 실제 파업이 시작되면 공사는 추가 인력 지원으로 출퇴근길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