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정부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한 상품 판매에 제동을 걸었다. 급성장하는 중국의 짧은 동영상 플랫폼 틱톡이 법의 사각지대를 파고들며 전자상거래 생태계를 파괴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인도네시아에서는 SNS에서 상품 홍보와 판매에 열을 올리는 인플루언서(유명인)를 지칭하는 이른바 ‘팔이피플'을 보기 어려워질 전망이다.
26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줄키플리 하산 인도네시아 무역부 장관은 전날 “SNS 회사는 상품과 서비스를 홍보하는 역할만 해야 한다"며 "전자상거래는 허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SNS를 유통 채널로 사용할 수 없도록 법에 못 박을 방침이다.
이는 인도네시아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틱톡을 노골적으로 겨냥한 조치다. 중국 바이트댄스가 운영하는 틱톡은 짧은 동영상을 제공하는 미디어 플랫폼이다. 2021년부터 콘텐츠와 전자상거래를 결합한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도 운영한다. 인플루언서가 틱톡 생방송을 통해 물건을 실시간으로 홍보하면 시청자들이 구매하는 방식이다. 이전 전자상거래가 온라인 플랫폼이나 개인 쇼핑몰 등을 통한 B2C(업체와 소비자 간 거래)였다면, 틱톡 쇼핑은 개인이 상품을 소개하고 판매하는 C2C(소비자와 소비자 간 거래)에 가깝다.
틱톡은 2년 만에 인도네시아에서 다섯 번째로 큰 온라인 쇼핑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시장 점유율은 5%다. 올해 매출은 지난해보다 두 배 늘어난 50억 달러(약 6조5,000억 원)로 추정된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모멘텀웍스는 “틱톡은 지난 2년간 인상적인 매출 성장세를 보였는데, 성과의 절반이 인도네시아에서 나왔다”고 분석했다.
문제는 '틱톡 팔이피플'이 제도권 밖에 있다는 점이다. 인도네시아 상품 거래 규정에는 SNS에서의 상품 판매와 관련된 지침이 없다. 사고가 발생해도 제재할 수 없다는 의미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틱톡이 소비자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중국산 저가 제품을 들여오면서 시장에 악영향을 끼친다고 본다. 이에 틱톡이 인도네시아에서 돈을 벌 길을 차단하겠다고 선언한 셈이다.
미국 시사주간 타임은 “인도네시아 국내총생산(GDP)의 61%를 차지하는 6,420만 개 영세 중소기업이 소셜커머스 기업에 의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라고 전했다. 바흘릴 라하달리아 인도네시아 투자부 장관 역시 25일 기자회견을 열고 “틱톡이 받은 영업 허가권은 상품 거래가 아닌 SNS 플랫폼 운영에 대한 것”이라며 “라이브 스트리밍 판매를 계속할 경우 인도네시아에서 추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틱톡인도네시아는 성명을 내고 “새 규정이 틱톡 매장을 사용하는 600만 명 이상의 판매자와 700만 명의 상품·콘텐츠 제휴 창작자 생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며 정부의 재고를 요구했다. 인구 약 2억8,000만 명의 인도네시아에서 틱톡 가입자는 1억2,500만 명이 넘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