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때로 배우들은 자신이 출연한 영화가 개봉하면 몰래 극장을 찾곤 한다. 관객의 솔직한 반응을 보기 위해서다. 치열하게 고민하고 연기한 지점에서 관객이 웃거나 울거나 격한 리액션을 보일 때 배우는 내심 쾌감을 느낀다. 기자가 일반 시사나 극장을 찾는 것도 비슷한 이유다. 언론배급 시사에서 느끼지 못하는 보편적인 관객의 반응을 살필 수 있어서다.
여러 이유로 '1947 보스톤'의 일반 시사회장을 찾았다. 이날 상영관에는 다양한 연령과 성별의 관객들이 자리했다. 이 영화는 1947년 광복 후 처음으로 태극마크를 달고 국제대회에 출전하기 위한 마라토너들의 도전과 가슴 벅찬 여정을 그린다. 베를린올림픽 영웅 손기정과 서윤복 선수의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됐다.
대부분 손기정은 알지만 서윤복의 숨겨진 이야기까지는 잘 알지 못한다. '1947 보스톤'은 실의에 빠진 손기정의 모습으로 시작한다. 손기정과 남승룡은 1936년 베를린 올림픽 출전 기회를 얻었지만 일장기를 가슴에 달고 뛰어야 했다. 당시 손기정이 금메달, 남승룡이 동메달이라는 값진 결과를 얻었음에도 상의 명예는 일본에게 돌아갔다. 2시간 29분 19초, 올림픽 신기록과 동양인 최초 우승을 따냈지만 손기정은 부끄러움에 고개를 떨궜다. 그는 월계수 묘목으로 일장기를 가렸다는 이유로 다시는 마라톤 선수로 활동하지 않겠다는 각서를 써야만 했다.
이로부터 10년 뒤 손기정은 남승룡과 함께 자신의 뒤를 이을 마라토너를 찾기 시작한다. 그때 손기정의 눈에 든 유망주가 있었으니 바로 서윤복이다. 어머니와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돈이 되는 일이라면 뭐든 하던 서윤복은 상금을 받기 위해 마라톤 대회에 참가해 1위를 거머쥔다. 그의 앞에 마음 속 영웅이던 손기정이 나타나 다짜고짜 보스톤 마라톤 대회에 나갈 것을 권유한다. 일본에 귀속된 베를린 올림픽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 처음으로 태극마크를 가슴에 새기고 달려 보자는 것.
우여곡절 끝에 함께하게 된 이들은 1947년 보스턴 마라톤 대회를 목표로 끊임없이 달렸다. 그러나 정부가 수립되지 않은 시점이라 미군에 의탁해 여행증명서를 발급받아야만 했다. 어렵게 보스턴으로 향했지만 미국 성조기를 달고 뛰어야 한다는 청천벽력 같은 소식을 접한다. 위기의 상황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결국 가슴에 태극기를 달게 된 서윤복 선수. 대회 당일, 그의 옆에선 페이스메이커 남승룡 선수가 함께 뛰었고 손기정은 코치로 나섰다.
하지만 선두 그룹에 속해있던 서윤복이 갑작스럽게 뛰어든 개에게 습격을 당한다. 이 부분은 관객의 탄식을 자아낼 만큼 극적이다. 더욱 놀라운 것은 만들어진 드라마가 아니라 실제 있었던 일이라는 점이다. 앞서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에서도 이 일이 회자된 바 있는데, 박수를 치던 관중이 개 목줄을 놓쳐 개가 서윤복 선수에게 달려왔고 그는 넘어지고 말았다. 그러나 서윤복 선수는 포기하지 않고 다시 일어나 달렸다. 결국 난코스인 2km 오르막길 코스에서 서 선수는 기회를 잡게 된다. 빠르게 선수들을 제치고 달려나간 그는 1등을 차지했다. 최종 기록은 2시간 25분 39초, 세계 신기록이었다.
'1947 보스톤'에서는 이토록 놀랍고 감동적인 실화가 108분 동안 쉴 틈 없이 펼쳐진다. 약소국의 아픔을 이겨내고 뜨거운 마음으로 달렸던 위대한 마라토너들의 이야기와 그들을 조력한 수많은 국민들의 염원은 감동을 자아내기 충분하다. 험난한 역경을 뚫고 펼치는 질주는 관객의 가슴 속에도 뜨거운 불씨를 심으며 잊고 있던 애국심을 끓어오르게 한다.
그래서일까. 이날 시사회장에 참석한 60대 여성 관객과 40대 남성 관객은 서윤복 선수가 안간힘을 다해 결승선을 향해 달릴 때 큰 소리로 박수를 쳤다. 더욱 놀라운 건 관객 중 누구 하나도 이들에게 눈치를 주거나 야유를 보내지는 않았다는 점이다. 아마도 많은 관객들이 마음 속으로 박수를 치며 서 선수를 응원하고 있었기 때문일 터다.
연출을 맡은 강제규 감독에게 '박수 일화'를 이야기하자, "내 주변에도 그런 얘기를 한 사람이 있었다. 초등학교 운동회 때 박수 치고 이번에 영화 보고 처음 박수 쳤다더라"라며 껄껄 웃었다. '은행나무 침대'부터 '쉬리'와 '태극기 휘날리며' '마이웨이' 등을 연출한 강제규 감독은 시대극의 거장으로도 불린다. 다작을 하는 감독은 아니나, 그만큼 한편 한편에 세세한 공을 들이기로 유명하다. '장수상회' 이후 8년 만에 극장가에 돌아온 강제규 감독은 '1947 보스톤'을 통해 주특기를 발휘하며 감동 드라마를 완성했다.
감독은 실화가 워낙 극적이라 허구는 최대한 자제했으며, 실제 이야기와 영화가 80% 정도 일치한다고 밝혔다. 관객이 인물에 동화되기 위해서는 배우들과 실존 인물들의 높은 일치율도 필수적이었다. 외적인 조건과 내적인 부분들을 모두 고려해 임시완을 서윤복 역에 캐스팅했고 하정우에게 손기정 역을 맡겼다. 강 감독의 아내 역시 배우들의 연기를 아낌없이 칭찬할 만큼 만족스러운 캐스팅이었다.
시대의 정취를 잘 담아냈고 해외 로케이션을 통해 생동감 있는 현장의 모습을 재현한 것도 인상적이다. 보스턴 장면은 호주 멜버른 외곽에서 4개월간 촬영했는데 관객의 몰입도를 더욱 높이는데 주효했다. 강 감독은 "한 도시를 통제하고 촬영하다 보니 제한된 시간 안에 모든 촬영을 해야 했다. 그야말로 '시간과의 전쟁'이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관객의 박수를 부른 하트 브레이크 언덕 추월 장면을 촬영할 때는 강제규 감독 역시 짜릿함을 느꼈다. 결승점 피니시 라인에서 보여주는 세 인물의 감정이나 개가 뛰어나와서 서윤복 선수가 쓰러지는 장면에서도 감독은 깊은 감동을 받았다. 기자 회견장에서 손기정을 연기한 하정우의 대사를 들을 땐 눈물이 핑 돌 정도였다. 배우들이 디테일한 연기로 영화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잘 담아내 '1947 보스톤'이라는 감동 드라마가 탄생할 수 있었던 것이다.
강제규 감독은 말했다. "저는 연출을 맡을 때 '이 영화가 왜 필요하지?' '이 시대에 만들어야 하는 이유가 있나'를 비교적 따지는 편입니다. 이 이야기는 대부분의 관객들이 잘 모르고 있는 숨겨진 역사적 사실이고, 꼭 알려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소중한 승리의 역사의 한 페이지이니까요. 우리에게 긍정의 힘을 줄 수 있는 영화이기에 이 시대에 꼭 필요하겠다 싶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