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년과 내후년 금리 전망을 인상하면서 고금리 장기화 가능성을 암시했다. 시장은 경계심에 출렁였고,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셈법도 한층 복잡해졌다.
연준은 20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정책금리를 기존 연 5.25~5.50% 수준으로 동결했다. 점도표(FOMC 위원들이 각자 예상하는 최종금리 수준을 점으로 찍어 표시한 것)상 연말 정책금리 전망 중간값 역시 전과 동일한 5.6%를 유지했다. 올해 한 차례 더 금리를 올릴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다. 내년 말(5.1%)과 2025년 말(3.9%) 정책금리 전망은 6월보다 0.5%포인트씩 높여 잡았다.
내년과 후년 금리 전망을 예상보다 크게 상향 조정했다는 점에서 시장은 이번 FOMC 결과를 매파적(통화긴축 선호)으로 받아들였다. 내년 연준이 금리 인하에 나서더라도 예상보다 시점이 늦거나, 하락 폭이 크지 않을 것이란 뜻이기 때문이다. 미국 경제의 견조한 성장세가 그 배경으로 꼽힌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정책금리 전망이 높아진 건 경기가 예상보다 좋아졌기 때문”이라며 “지금은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신호를 보내지 않겠다”고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점도표 하향을 기대했던 시장은 높은 수준의 금리를 더 오래 유지하겠다는(higher for longer) 연준 의지에 곧장 반응했다. 뉴욕증시는 나스닥 지수가 1.53% 떨어지는 등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채권값도 떨어져(금리는 상승) 이날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4.4%까지 올랐고, 금리정책에 민감한 2년물 금리도 5.19%까지 치솟았다. 각각 2007년, 2006년 이후 최고치다.
국내 증시도 주춤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1.75% 하락한 2,514.97에 거래를 마쳤고, 코스닥 지수는 2.5% 급락해 860선에 겨우 턱걸이(860.68)했다. 달러화 강세로 환율은 전일 대비 9.6원 오른 1,339.7원에 마감했다. 긴축 장기화 우려는 아시아 전반의 투심에 찬물을 끼얹었다. 일본 닛케이225는 1.37% 하락 마감했고, 중국 상하이 종합(-0.77%)과 홍콩 항셍(-1.31%·오후 4시 30분 기준)도 주저앉았다.
다만 연준의 올해 추가 금리 인상이 현실화할지에 대해선 주요 투자은행(IB) 전망이 다소 엇갈리는 모습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11월 FOMC에서 연준이 금리를 0.25%포인트 더 올릴 것이란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반면 UBS는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연준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하면서 금년 중 추가 금리 인상은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모건스탠리도 “제약적인 실질금리, 향후 경제전망 등을 고려할 때 금년 중 정책금리를 동결하고 내년 3월 금리 인하를 시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은 역시 연준에 발맞춰 고금리 기조를 더 오래 가져갈 것으로 관측된다. 가계부채, 유가 등 금리 인상 압력이 여전한 데다 미국과 금리 차도 역대급(2%포인트)으로 벌어져 먼저 금리 인하에 나서기 쉽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일단 10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선 동결을 유지한 뒤 올해 두 차례 남은 FOMC 결과와 금융·외환시장 상황을 지켜보며 금리정책을 저울질할 것으로 보인다. 하건형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성장세는 미국보다 약해도 목표치를 넘는 물가 상황, 가계부채 증가 등을 고려할 때 한은 역시 고금리 장기화가 불가피하다”며 “3.75% 인상 가능성을 열어두는 기조가 상당 기간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