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국내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공시 방안을 검토 중인데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ESG 공시 의무화 시기를 적어도 3, 4년가량 늦춰야 한다는 의견을 관계 부처에 냈다고 10일 밝혔다. 문재인 정부가 2025년부터 자산 2조 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의 ESG 공시를 의무화하기로 했지만 운영 기반이 갖춰지지 않아 부작용이 크다는 지적이다.
금융위 등 관계부처가 검토 중인 국내 ESG 공시제도는 6월 국제회계기준(IFRS) 재단 산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발표한 'IFRS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을 뼈대로 할 가능성이 크다. 핵심 내용은 종속 자회사뿐만 아니라 실질 지배력이 없는 지분법 대상 기업의 탄소 배출량까지 기업이 공시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전 세계 140개국에 적용하던 IFRS에 머지않아 새로 발표한 'IFRS 지속가능성 공시기준'까지 적용할 방침이기 때문에 전 세계 주요국들도 이 기준을 기업 공시에 참고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총은 "ISSB가 IFRS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을 확정하는 것이 애초 지난해 말에서 여섯 달가량 늦어졌다"며 "내용도 국내 상황에서 조기 도입하면 산업 현장과 자본 시장의 대혼란이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특히 인도, 동남아시아, 중남미 등 상대적으로 ESG 인프라가 취약한 개발도상국에 주로 공급망을 가진 국내 기업은 당장 탄소배출량 집계조차 쉽지 않다고 경총은 지적했다. 기업들이 전 세계 사업장에서 IFRS 기준에 맞는 정보를 집계·검증할 전사 시스템을 만들기까지 최소 3, 4년이 걸릴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동근 경총 상근부회장은 "현재 IFRS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도입 관련 구체적 로드맵을 제시한 국가는 금융업 중심의 싱가포르 정도에 불과한 실정"이라며 "ESG 공시 의무화 시기는 제조업 중심 국내 기업의 글로벌 공급망, 장기간 소요되는 전사 시스템 구축, 협소한 탄소 배출 검·인증 시장, 열악한 국내 재생에너지 조달 여건 등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