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한미연합군사연습(한미훈련) '을지 자유의 방패(UFS)' 첫날부터 북한이 반감을 드러냈다. 앞서 실시한 것으로 추정되는 순항미사일 발사 훈련을 공개하면서 한미일 북한 탄도미사일 대응의 ‘빈틈’을 파고들었다. 다음 달 9일 북한 정권수립일까지 무력시위로 한반도 위기를 고조시킬 것으로 보인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오중흡 7연대 칭호를 받은 조선인민군(북한군) 해군 동해함대 근위 제2수상함전대를 시찰했다"고 21일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또 김 위원장이 "경비함 해병들의 전략순항미사일 발사훈련을 참관했다"며 "발사훈련에서 단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신속히 목표를 명중타격함으로써 함의 경상적인 동원태세와 공격능력이 완벽하게 평가됐다"고 전했다. 다만 언제 훈련을 실시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북한의 순항미사일 발사 보도와 관련해 "한미는 관련 징후를 사전에 포착하여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있었다"며 "우리 군은 확고한 연합방위태세하에 계획하고 있는 연합연습과 훈련을 강도 높게 철저히 시행하면서,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기초로 확고한 대비태세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군은 이번에 공개된 북한의 순항미사일 훈련이 지난 18일 한미일 정상회의 이전으로 실시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합참은 특히 북한의 보도에 대해 "과장되고 사실과 다른 부분이 많다"고 밝혔다. '전략순항미사일'이라고 밝힌 것부터가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이다. 북한은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무기에 '전략'이라는 호칭을 사용해 왔지만 북한이 이번 훈련에 사용한 함선의 크기, 미사일의 비행거리 등을 근거로 '화살-2형' 등 전략순항미사일이 아니라 일반 대함용 순항미사일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이번에 발사된 북한 순항미사일의 비행거리를 200㎞ 미만으로 파악하면서 감시자산을 통한 탐지·분석 결과를 토대로 '명중 타격'이라는 북한의 주장도 사실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
북한이 UFS 훈련 첫날을 겨냥해 전략순항미사일 훈련을 공개한 것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한미훈련이 정상화했고, 올해 UFS 기간 실시되는 실기동훈련도 지난해에 비해 3배 가까운 30여 건인 사실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이번 UFS에는 미 전략자산인 B-1B 전략폭격기 등도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사실상 사상 최대 규모의 한미훈련에 예상할 수 있는 북한의 군사적 반발이다.
한미일 3국 정상은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캠프 데이비드에서 정상회의 후 공동성명인 '캠프 데이비드 정신'을 통해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우리는 북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증강된 탄도미사일 방어 협력을 추진할 것"이라고 적시했다. 북한의 맞대응은 순항미사일이 한미일 공동 대응이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틈새를 노렸을 가능성도 있다. 한미일 정상회의에서 북한 인권 문제가 거론된 것도 북한의 순항미사일 발사 공개의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도발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국가정보원은 지난 17일 국회 정보위원회에 북한이 한미일 정상회의 또는 한미훈련을 겨냥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등 여러 종류의 도발을 준비하고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와 관련, 북한은 지난 5월 발사에 실패한 '군사정찰위성' 재발사 준비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