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 민간 부동산 회사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이 촉발한 채무불이행(디폴트) 위기로 '중국판 리먼 브러더스 사태' 발생 가능성에 대한 논란에 불이 붙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번 위기가 금융권 전체로 확산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 18일(현지시간) "금융위기 확산 우려를 촉발하고 있는 진원지는 중국의 자산운용사인 중룽 국제신탁"이라며 이 같이 보도했다. 금융그룹 중즈그룹 계열사인 중릉신탁은 지난해 말 기준 총 운용자산액이 1,080억 달러(약 145조 원)에 달한 중국 10대 신탁회사다.
중룽신탁은 최근 수십 개 투자신탁 상품의 이자 지급 및 원금 환매를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룽신탁의 펀드 4개에 돈을 맡긴 중국 상장사 3곳의 환매 중단 피해액만 1,400만 달러(약 188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 투자업계에선 실제 피해 규모가 더 클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의 신탁 산업은 오랜 기간 중국 내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자금 조달책 역할을 해왔다. 특히 이번 자금난이 중국 내 부동산 개발업계 1위인 비구이위안의 디폴트 위기와 맞물려 발생한 만큼, 위기감은 커지고 있다는 게 WSJ의 설명이다.
중국신탁협회에 따르면 올 1분기 말 현재 중국 내 신탁펀드의 부동산 부문 위험 노출액은 약 1,550억 달러(약 208조원)에 이른다. 2021년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에버그란데) 위기 때와 비교하면 중국 경제의 체력은 지금이 더 안 좋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그림자 금융(은행처럼 신용을 창출하되 규제는 받지 않는 금융 상품)'과 맞물려 금융시장 전반으로 위기가 전염될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가베칼리서치의 샤오시 장 연구원은 "중룽의 모회사 중지그룹은 '블랙박스'나 마찬가지"라며 "정기 공시도 하지 않는 비상장사인 탓에, 일부 투자자는 그들이 어떤 자산에 투자하는지 조차 모를 정도"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의 금융시스템 건전성을 위협하는 '리먼 모먼트'가 손짓을 하고 있다는 것이 우려스럽다"고 했다. 다만 중 규제당국의 경계로 실제로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적다고 내다봤다.
한편 비구이위안이 홍콩증시 대표지수인 항셍지수에서 제외되는 등 관련 위기는 이미 금융권을 강타하고 있다. 1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항셍지수회사는 전날 밤 공시를 통해 다음 달 4일부터 항셍지수 종목에서 비구이위안의 부동산관리 회사인 컨트리가든서비스홀딩스를 제외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