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해커, 일본 기밀 전산망도 뚫은 듯… “지금도 미일 정보 공유 걸림돌”

입력
2023.08.08 09:00
워싱턴포스트 보도… “트럼프 정부 말기 인지”
미 국방장관, 일본에 ‘사이버 보안’ 우려 전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말기 당시 일본 정부의 안보 기밀 전산망이 중국군 지원을 받는 해커들에 의해 해킹된 적이 있고, 지금도 이 일이 미일 간 정보 공유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7일(현지시간) 복수의 전·현직 당국자를 인용해 2020년 말 중국군 해커가 일본의 기밀 군사망 방어벽을 뚫는 데 성공했다고 보도했다. 해커들은 일본 최고의 보안을 갖춘 네트워크에 침입해 작전 계획을 비롯해 자산, 군사적 결점 등과 관련한 정보를 최대한 확보하려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WP에 따르면 해킹 사실을 처음 확인한 미 국가안보국(NSA) 폴 나카소네 당시 국장과 매슈 포틴저 당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부보좌관은 일본으로 즉각 향했다. 그리고 이 사실을 당시 일본 방위장관은 물론, 일본 총리에게도 전달했다.

이후 일본 정부의 보안 강화에도 여전히 미일 간 군사 정보 교류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해킹 당시 미국은 2020년 11월 대선 결과에 따라 조 바이든 행정부로 정권이 이양되던 시기였다. 그러나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인 2021년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미 당국이 확인했고,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이 일본 정부에 사이버 보안이 담보되지 않을 경우 향상된 정보 공유가 느려질 수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고 한다.

인도·태평양에서 미국의 가장 강력한 우군인 일본은 지금껏 한국보다 더 긴밀하게 미국의 각종 군사 정보를 사실상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왔다. 윤석열 대통령의 지난 4월 국빈 방미에서 채택된 워싱턴 선언을 계기로 미국은 한일을 포함한 한미일 안보 동맹 구축을 본격화하고 있다. 하지만 미일 간 정보 공유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면 이 논의가 진전되기 어렵다.

중국과 러시아 등 적국의 해킹은 줄곧 미국의 골칫거리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 중국 해커들의 침입 강도는 한층 더 심각하게 인식되고 있다. 지난달 마이크로소프트(MS) 클라우드망에 대한 중국 해커들의 공격으로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과 니컬러스 번스 주중 미국대사, 대니얼 크리튼브링크 미 국무부 동아태차관보 등 고위 당국자의 계정을 비롯한 25개 기관의 이메일 계정이 해킹되기도 했다.

권경성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