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붕괴된 성남 ‘분당 정자교’와 같은 공법(캔틸레버 구조)으로 건설된 다리 중 위험 요소가 있는 교량이 전국이 372개 더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캔틸레버는 보도부 한쪽 끝만 고정되고 다른 쪽 끝은 하중을 지탱하는 기둥이 없는 처마 형태의 구조물을 말한다.
행정안전부는 4~6월 실시한 안전취약시설 2만9,038개소를 집중 점검한 결과, 1만1,304개소에서 위험 요소가 발견됐다고 7일 밝혔다. △건물 외벽 및 난간 등 균열ㆍ파손 △구조물 철근 노출 △산업ㆍ공사장 낙하물 방지망 미설치 △방파제 안전난간 일부 파손 등이 지적된 것이다.
4,925개소(44%)는 배수로 청소나 비상구 적치물 제거 등 경미한 사항이라 시정조치를 마쳤지만, 나머지 6,201개소(55%)는 보수ㆍ보강 조치가 필요하다. 보다 세밀한 안전진단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178개소(1.6%)는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할 예정이다.
특히 정자교 붕괴사고를 계기로 지자체 소관 전국 1,722개의 캔틸레버교를 집중 점검한 결과, 청주 미원교(콘크리트 들뜸)와 단양 영춘교(인도교 처짐 확인), 순천 오리정교(철근 노출 및 부식) 등 372개(21.6%)의 교량에서 위험 요소를 발견했다. 그 중 18개소는 시정조치를 완료했지만, 290개소는 보수ㆍ보강이 필요하고, 64개소는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할 예정이다. 행안부는 “긴급 보수ㆍ보강이 필요한 시설은 8월 예정된 재난안전특교세를 지원해 신속히 위험요소를 제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